12인 비상경제대책위…"국가파산은 막아야" 적극 개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2일 확정된 '12인 비상경제대책위원회' 는 김대중 대통령당선자의 취임때까지 주요 경제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사실상의 경제내각으로 봐도 무방하다.

실무능력과 효율성, 실제적인 권한행사가 가능한 당정의 핵심인사들이 망라됐기 때문이다.

정부측 6인, 국민회의.자민련측 6인의 동수로 구성된다.

정부측 대표는 임창열 (林昌烈) 경제부총리이고 당측 대표는 김용환 (金龍煥) 자민련부총재. 임기말 내각과 차기정권 실력자들의 모임인 만큼 아무래도 당측이 정부를 끌어가는 형식이 될 것같다.

그러나 당정간 협의체이기 때문에 위원장은 두지 않았다.

김용환 당측대표는 70년대 재무장관시절 임창열 부총리를 부하직원으로 둔 적이 있어 인적구성상 당정간 마찰여지는 비교적 적을 것으로 보인다.

金부총재는 정권인수위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경제난 타개가 더 급하고 중요하다는 김대중당선자와 김종필 (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의 합의에 따라 대책위를 맡게 됐다.

금융.외환에 정통해 대책위를 이끌기에 적합한 인물로 평가된다.

대책위의 제1업무는 금년말 거의 바닥이 날 외환보유고를 확보하는 일이다.

국내은행 외채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 등으로 일단 위기를 돌파한다는 방침이지만 미봉에 불과할 것이다.

이들의 지혜와 사활적 노력에 '대한민국의 파산선고' 여부가 달려 있다.

당초 현정부의 경제실정 책임을 덮어쓸 필요가 있겠느냐며 다소 소극적이었던 당측은 "파산정부를 승계받을 순 없다" 는 金당선자의 확고한 결심에 따라 적극적인 개입방침으로 선회했다.

12인 위원회의 수장으로 거론되던 박태준 (朴泰俊) 자민련총재는 "내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통로가 얼마든지 마련돼 있는데다 인선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 며 대책위에선 빠졌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