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당총무 들끓는 여론에 세비인상 철회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목요상 (睦堯相) 한나라당.박상천 (朴相千) 국민회의.이정무 (李廷武) 자민련총무등 3당 총무가 8일 국회의장실에서 만난다.

입법활동비 인상에 따른 여론의 비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다.

3당 총무들은 지난 11월18일 예산을 통과시키면서 현행 1백80만원인 입법활동비를 2백35만원으로 슬쩍 올렸던 것을 환원할 방침이다.

IMF 구제금융 파장으로 기업이 쓰러지고 대량실업과 샐러리맨들의 봉급 삭감이 예고되는 시점에서 의원들만 30.6%나 인상된 입법활동비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석연 (李石淵) 변호사가 '국민재산권 침해' 등의 이유로 헌법소원을 제출한 것등을 계기로 비판이 들끓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아직도 3당은 내심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들이다.

총무들은 "의원들 직위만 장관급으로 올리고 활동비는 차관급이어서 조정한 것일뿐" 등의 논리를 제시하며 항변한다.

총무들은 "IMF 구제금융 전에 인상됐는데 이번 일과 연결시켜 몰염치로 몰면 억울하다" 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도 애초 최종 심의과정에서 인상안을 슬며시 끼워 처리한 주체에 대해서는 하나같이 "계수조정과정에서 이뤄진 일이라 난 모른다" 고 얼버무렸다.

그래서인지 4급 보좌관 1명 증원은 고수할 생각인 것같다.

국민회의.자민련은 내년 6월부터 도입되는 복수상임위제도에 대비하기 위해선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한나라당은 여론이 정 나쁘면 6월까지만 증원을 미루자는 입장이다.

인상분 자진반납 방침을 밝힌 한나라당의 한 핵심 당직자는 "IMF 구제금융을 졸업할 때까지" 라고 시한을 밝히고 있다.

예산 삭감을 주장하는 국민회의도 마찬가지 조건이다.

국무위원들이 봉급의 20%를 반납키로 한 것과 상응하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느냐는 견해에 대해선 그나마의 공동보조가 깨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조만간 의총을 열어 인상전 입법활동비에서 20%를 자진 삭감키로 결의할 방침이다.

'위기 극복을 위한 동참' 이 명분. 그러나 총무실은 "모르는 일" 이라며 거부감을 표시한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아예 "돈많은 당이나 가능한 일" 이라며 "경제파탄의 책임을 면하려는 쇼" 라고 비난하고 있다.

김교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