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도둑을 잡아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코노미스트 “기름 도둑을 잡아라!” 대한송유관공사에 비상이 걸렸다. 송유관에 구멍을 뚫어 기름을 훔치는 ‘도유(盜油) 사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5년 한 건에 불과했던 송유관 도유 사건은 지난해 31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검거된 도유범 수도 2006년 18명에서 2008년 41명으로 127% 증가했다. 수법 역시 지능화하고 있다. 도강ㆍ장거리 호스 설치는 낡은 방법. 지하터널을 뚫어 기름을 훔치는 신형 수법까지 등장한 지 오래다.

문제는 송유관 도유의 위험성이 크다는 점이다. 안전 지식도 없이 송유관을 뚫었다간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2009년 1월 도유범 2명이 송유관을 뚫다가 화재가 발생해 한 명이 숨지고 다른 한 명이 크게 다치는 사건이 있었다. 나이지리아에선 2006년 12월 도유에서 비롯된 화재 때문에 500명이 사망하는 대참사도 발생했다. 도유로 인해 토양ㆍ수질 등 환경이 오염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송유관 구멍에서 새어나온 기름이 지하수로 유입됐을 때를 가정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송유관공사는 최근 도유방지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최광식 송유관공사 사장은 도유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할 목적으로 2007년 부터 전국 송유관로 1208km 중 감시가 필요한 803km를 도보 순찰하고 있다. 지난 2년 간 656km를 전 직원과 함께 걸었다. 관로 순찰을 전담하는 40명 인원의 별도 회사를 설립했다. 순찰인력은 도유 사건이 주로 발생하는 오후 8시~새벽 4시 사이에 3명이 투입된다.

이뿐 아니라 과학적 도유감시 시스템도 대폭 정비했다. 지난해 말 LDS(Leak Detection System)를 독자 개발해 설치한 것은 대표적 사례다. LDS는 도유 여부를 송유관의 압력치(기름이 유출되면 송유관 압력 하락)를 이용해 잡아내는 장비다. 하지만 기존 LDS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시간당 100KL에 이르는 대량 누유는 감지 가능했지만 소량이 샜을 땐 측정하지 못했다. 송유관공사는 1년 여의 연구개발 끝에 시간 당 8KL의 누유도 잡아낼 수 있는 한국형 LDS를 개발해 냈다. 이 장비는 현재 특허 출원 중이다.

최 사장은 “도유범은 대포폰ㆍ대포차량ㆍ차명계좌를 사용하고 역할을 분담해 점조직으로 활동할 정도로 지능화되고 있다”며 “하지만 사법권이 없는 우리 공사는 의심되는 시설물ㆍ건축물을 확인수색할 없어 도유방지 활동에 애로가 많다”고 말했다. 그가 송유공사와 연계활동이 가능한 별도의 경찰 도유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대한송유관공사=울산ㆍ여수 소재 5개 정유공장과 대도시ㆍ공항을 연결하는 총 연장 1208㎞의 송유관을 운영한다. 국내 경질유 연간 총 생산량 2억5000만 배럴의 약 53%인 1억3300만 배럴이 이 송유관을 통해 이동한다. 송유관공사의 대주주는 SK에너지(38.3%)ㆍGS칼텍스(25.3%)이다. 지식경제부와 석유공사는 각각 9.8%, 3.7%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2001년 1월 민영화됐다.

이윤찬 이코노미스트 기자

chan4877@joongang.co.kr

* 상세한 기사는 13일 발매되는 이코노미스트 최신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