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비웃는 '나홀로차'…인상 첫날 양화대교 통과 70%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휘발유가격이 ℓ당 82원 인상된 28일 오전 서울 양화대교 남단. 오전6시30분부터 8시까지 1시간30분 동안 양화대교 남단을 통과한 승용차를 중앙일보 취재진이 직접 조사한 결과 1천4백45대 가운데 74%인 1천65대가 1인탑승 차량으로 나타났다.

남산 1, 3호터널의 혼잡통행료 부담을 피해 차량들이 몰린 남산순환도로도 사정은 마찬가지. 3시간30분 뒤인 오전11시30분부터 오후12시30분까지 1시간 동안 남산우회도로 통과차량 1천90대중 74%인 8백3대의 탑승자는 운전자 한 사람뿐이었다.

서울시가 집계한 27일 남산 3호터널 통과승용차 2만3천9백49대중 2인 이하 탑승으로 혼잡통행료를 지불한 차량은 70%인 1만6천8백21대나 됐다.

경제난과 고유가 (高油價) 속에서도 '나홀로 차량' 이 여전한 것이다.

나홀로 차량이 소비하는 휘발유는 외화와 직결된다.

거래특성상 도입 1백64일후 대금을 결제하는 원유의 경우 환율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지연지급에 따른 이자부담까지 추가돼 더 많은 외화가 유출된다.

올해 국내에 들어올 원유량은 7억5천여배럴로 배럴당 원유가격이 미화 20달러 (약 2천원) 정도지만 한달 평균 6% 내외의 이자만 따지도 수십억달러어치에 이른다.

휘발유 소비에 따른 외화낭비가 이처럼 엄청난데 국내 유류소비량 가운데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 또한 엄청나다.

환경부 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유류소비량 7천6백64만2천㎘ 가운데 자동차에 들어간 휘발유.경유는 각각 1천80만7천㎘, 2천4백64만7천㎘로 38.5%를 차지했다.

서울의 경우 전체사용량의 82.2%가 자동차용이다.

녹색교통운동 김미영 (金美英.31) 실장은 "외국에 비해 차량 1대당 주행거리와 중.대형차량 비율이 높은 우리로서는 운행행태를 바꾸는 것이 유류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이라고 지적했다.

金실장은 '나홀로 차량' 의 운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거주지부터 목적지까지 가는 전구간 카풀보다 버스정류장.지하철역등 환승장 사이를 동승하는 부분 카풀제를 적극 활용하며, 행정당국은 카풀차량에 대한 주차료 감면등의 혜택을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혜수.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