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 신한국당 탈당…8일 담화발표 대선불법·타락 엄단천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이 7일 신한국당을 탈당했다.

金대통령은 탈당에 이어 8일 오전10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 흑색선전과 무책임한 폭로전을 불법.타락 선거행위로 규정하고 엄정한 법집행을 밝힌다.

金대통령은 또 10일 청와대에서 임시국무회의를 주재, 불법.탈법 선거전에 대한 공권력 발동등 내각차원의 강력한 대처를 지시한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金대통령이 공언한 대선 공정관리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정치공세를 계속하고 있어 정치권의 혼미는 계속될 전망이다.

◇ 청와대 = 신우재 (愼右宰) 대변인은 "金대통령은 대통령선거를 어느 정당에도 치우침없이 엄정하고 공정하게 관리하고 국정수행에 전념하기 위해 신한국당을 탈당하기로 했다" 고 발표했다.

金대통령은 탈당발표 직후 김용태 (金瑢泰) 비서실장을 비롯한 전 수석비서관회의를 소집, "어느 누가 당선돼도 좋으며 공명정대한 선거를 통해 국민이 선택한 후보를 적극 지지하겠다" 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나의 탈당 취지를 잘 이해하고 어느 정당, 어느 후보에도 치우침없이 신중하게 처신해 달라" 고 당부했다.

愼대변인은 이에 따라 고건 (高建) 총리내각은 사실상 중립내각이 됐다고 밝혔다.

김용태실장은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청와대 관련설뿐 아니라 공명 선거분위기를 저해하는 부정선거 행위에 대해 검찰권을 강력히 행사해 법적 조치를 취할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와관련, 검찰은 다음주중 김태정 (金泰政) 검찰총장 주재로 전국 공안부장검사 회의를 열며, 경찰도 고위간부회의를 소집한다.

◇ 신한국당 = 이회창 (李會昌) 총재의 주류측은 비주류 의원들이 탈당등 분명한 거취정리를 해줄 것을 촉구한 반면 비주류측은 잇따른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일단 후보교체 공론화등 당내투쟁을 더욱 강화키로 했다.

주류측은 金대통령 탈당이후에도 그간의 국민신당 막후지원설을 계속 추궁한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갈등이 더욱 증폭될 것이 예상된다.

李총재는 여성신문 초청 토론회에서 "당적을 떠나 대통령으로서 대선에 임하는 만큼 특정인.특정정당을 양성.음성적으로 지지할 수는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신상우 (辛相佑).박관용 (朴寬用).서청원 (徐淸源) 의원등 민주계와 국민연대파 초.재선의원등 비주류측 20여명은 긴급회동, 李총재등 지도부의 책임을 집중 성토하며 의원총회.전국위 소집요구로 후보교체 공론화 작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로 했다.

이들은 이달 중순이후 집단 탈당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국민회의 = 金대통령 탈당에 그치지 말고 청와대 관계 비서진 해직, 김현철 (金賢哲) 씨 인맥의 신당 핵심부 철수, 국민신당 창당자금의 출처 공개등을 촉구했다.

대구를 방문중인 김대중 (金大中) 총재는 " (탈당결정이)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며 "더이상 대통령은 물론 청와대가 특정 정당 활동에 개입하는 인상을 주어서는 안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 국민신당 = 윤재걸 (尹在杰) 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엄정한 대선관리를 위해 고뇌끝에 내린 결단으로 평가한다" 고 말했다.

박보균.김현종.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