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서 3일간 김대중총재 '비자금 정국' 대격돌 예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비자금 정국' 의 기세싸움은 오늘과 내일 집중적으로 열리는 국감 현장검사에서 절정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권영해 (權寧海) 안기부장, 김종구 (金鍾求) 법무장관, 김태정 (金泰政) 검찰총장, 박청부 (朴淸夫) 증권감독원장, 이수휴 (李秀烋) 은행감독원장이 각각 나오는 안기부· 법무부·대검찰청· 증감원·은감원 현장감사에서 '여야 대격돌' 이 벌어질 전망이다.

신한국당은 법사위의 법무부.대검 국감에서 '김대중총재 비자금 수사방침' 이라는 답변을 끌어내지 않으면 안된다는 절박함이 있다.

검찰의 수사착수 외엔 '김대중 비자금사건' 을 극대화할 방법이 없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국민회의는 정보위의 안기부 현장국감과 재경위의 증감원감사등을 통해 '국가기관의 정보정치 개입의혹' 의 증거를 잡아 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14일로 잡힌 대검찰청 국감은 비자금 정국의 중대 분수령으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검찰이 수사착수여부를 이날 감사이후 결정하겠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신한국당측은 국감현장에서 또다른 '대형폭로' 를 예고하면서, 비자금 수사검사 출신인 홍준표 (洪準杓) 의원을 법사위로 긴급배치했다.

안기부1차장 출신인 정형근 (鄭亨根) 의원· 공안검사 출신인 이사철 (李思哲) 대변인등과 함께 검찰을 압박, '수사하지 않으면 못배기도록' 몰아친다는 방침이다.

반면 국민회의는 검찰수사를 총력 저지한다는 태세다. 김대중총재가 검찰에 불려 다닌다면 대선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그래서 국민회의는 "김영삼대통령의 92년 대선자금과 이회창 신한국당총재의 경선자금을 수사하지 않으면서 金총재 자금만 수사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 고 맞받아치고 있다.

15일의 증감원 국감에선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공격의 주도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증감원이 대한투자신탁에 공문을 보내 옛 평화민주당 계좌에 대한 자료제출을 요구한 혐의 때문이다.

대한투자신탁은 91년 당시 김대중총재의 평민당과 거래를 했는데 이 공문은 그때 평민당이 입금했던 수표의 입출금 명세를 건네줄 것을 요구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국민회의측은 평민당의 5년전 금융거래명세를 증감원이 요구했는지, 했다면 그 이유를 추궁할 방침이다.

추궁과정에서 여권의 조사에 국가기관이 개입한 사실을 자연스럽게 잡아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재경위원인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은 "국세청.은감원.증감원등 관계기관들이 이번 폭로사건의 기획.준비에 깊이 개입한 증거가 있다" 고 주장, "증감원 국감은 이 사실을 명백하게 드러내는 승부처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금융실명제의 정치적 이용을 비판해 온 자민련도 이를 묵과할 수 없는 사태로 지목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또 은감원 6국의 검사역 2명이 '김대중 비자금조사' 에 개입했다는 제보를 공개하면서 해당직원의 출장명령서등 자료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끝난 은감원 감사를 한번 더 해야한다는 주장을 여당이 방어하기에 바쁘다.

15, 16일 안기부청사에서 예정된 정보위감사에 대비해 국민회의는 '안기부 개입설' 을 집중 추궁키로 했다. 국민회의측은 비공개의 위원회 토론내용을 '국가기밀이 아닌 정치사안' 이라는 이유로 공개를 검토하고 있어 또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