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비자금 어디까지 밝혀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신한국당이 7일 제기한 'DJ비자금' 의혹은 크게 두가지다.

3백여개 가.차명 계좌에 6백70억원을 갖고 있다는 것, 그리고 91년 노태우 전대통령으로부터 받았다는 '20억+α' 의 'α' 부분이다.

관심은 단연 6백70억원대의 비자금 대목이다.

김대중총재는 8일 "실명제이후 처조카를 통해 정치자금을 관리한 적은 전혀 없다" 고 폭로내용을 일축했다.

폭로 당사자인 강삼재사무총장은 "거짓이라면 의원직을 내놓겠다" 고 되받았다.

상반된 주장이어서 수사기관의 수사를 통해서만 흑백이 가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수사가 시작되면 최소한 돈의 실제 소유주는 드러나게 된다.

계좌의 명의인과 돈을 인출해간 사람들을 추궁해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는게 관계자들 얘기다.

姜총장은 "수사가 시작되면 자료 일체를 넘겨주겠다" 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민회의가 신한국당 이회창총재와 姜총장을 검찰에 고발할 경우 검찰이 대선을 앞둔 미묘한 시기에 바로 당사자들을 소환할지는 불투명하다.

더구나 국민회의측이 김영삼대통령의 92년 대선자금과 함께 李총재의 경선자금까지 조사를 요구해 선뜻 수사에 나설 분위기가 아니다.

'α' 에 대한 조사는 자료에 경위가 상세히 설명돼 있어 당장 확인이 가능하다.

문제는 평민당으로 흘러간 돈이 盧전대통령의 것이었느냐의 입증으로 역시 간단치 않아 보인다.

와중에 폭로자료 자체에 대한 의문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국민회의는 발표내용에 대한 16가지 의혹 (본지 10월8일자 4면 참조) 을 8일 공식 제기했다.

한일은행측에선 姜총장이 제기한 이형택씨의 93년 한일은행 불법 실명전환 혐의내용에 대해 "그런 사실이 없다" 고 반박했고, 동화은행 노조도 "더이상 정치적 제물로 삼지말라" 는 성명을 냈다.

또 金총재에게 3억원을 입금한 인물로 지목된 전 청와대경호실 경리과장 이태진 (李泰珍) 씨는 8일 오후 "姜총장의 말은 사실무근" 이라고 주장했다.

李씨는 "90년말부터 이현우 (李賢雨) 경호실장 지시로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개설돼 있던 '민영애' 명의의 통장에서 수시로 수백억원을 입.출금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문제의 날짜에 3억원을 출금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평민당사무총장 통장에는 어떠한 입금도 한 일이 없다" 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결국 姜총장이 계좌내역을 공개, 수사가 불가피해지는 국면이 올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사는 대선 때까지 이어질 수 있어 양측에 모두 피해를 줄 가능성도 크다.

김석현·장혜수·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