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관 봉착한 北경수로공사…근로자 신변안전 이상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함남 금호지구 경수로 건설공사가 착공 40여일만에 난관에 봉착했다. 우리측 한 근로자가 김정일 (金正日) 사진이 게재된 노동신문을 찢었는데 지난달 30일 북한측이 이를 발견, 시비를 삼으면서부터다.

북한측은 다음날인 1일 우리 정부대표를 포함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 현장 대표단에 항의와 함께 사과를 요구했다.

일부 북측 관계자들은 우리측 근로자들에게 "나가라" 면서 과격한 행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던 2일 오후 북측은 30여명의 북측 근로자들을 철수시키면서 신변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로 우리측 근로자들이 임시숙소 (북한영토)에서 작업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았다. 또 양화항에서의 하역및 통관작업도 막았다.

이에 정부는 현지의 우리 대표를 통해 북한의 사과요구는 받아들일수 없으며 북한측의 조치는 합의사항 위반이라는 점을 북측에 통보했다.

허종(許鐘) 북한 외교부 순회대사에게 보내는 보스워스 KEDO사무총장의 항의공한도 3일 전달됐다.

대치상태는 북한측이 4일 오후1시30분 하역과 통관업무는 일단 재개토록 하면서 다소 풀렸다.

그러나 우리측 근로자 1백10명중 대부분은 현장작업을 못한채 숙소에 대기중이다.

경수로 기획단 관계자는 "근로자들이 숙소앞에서 족구를 하는등 신변안전에는 이상이 없다" 고 전했다.

그동안 경수로 공사는 우리 사택부지내에 들어서는 숙소.사무소.식당 건설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는등 별 문제가 없었다.

남북 근로자들 사이에는 '서로를 이해하는' 분위기까지 조성됐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다 이번 사건이 양측을 난처하게 만들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집에 불이 나도 우선적으로 꺼내는 것이 김일성 (金日成) 부자의 초상화다. 때문에 북한관계자들로서는 이번 사안을 가볍게 넘기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렇다고 우리 정부가 북측 요구대로 사과하기도 곤란하다. 장선섭 (張瑄燮) 경수로기획단장은 5일 "이번 일은 사과할 성격이 전혀 아니다" 고 거듭 강조했다.

안희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