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아자동차 일단 정상화 처리방법 결론 못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기아그룹에 대한 부도유예기한 (29일) 이 열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부와 채권은행단이 기아사태 처리대책을 마련하느라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18일 청와대에서 김인호 (金仁浩) 대통령경제수석 주재로 임창열 (林昌烈) 통상산업부장관.강만수 (姜萬洙) 재정경제원차관및 기아그룹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의 류시열 (柳時烈) 행장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아그룹 처리방향에 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와 제일은행은 일단 기아자동차를 정상화한다는데 의견일치를 봤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선홍 (金善弘) 기아그룹회장의 무조건적인 경영권포기각서 제출과 인원감축에 관한 노조동의서 제출이 긴급자금지원의 전제가 돼야 한다는 채권단의 기존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에 앞서 추석연휴중 林장관은 기아그룹의 주요 채권은행장들과 만나 부도유예기한 이후의 기아처리 대책에 대해 심도있게 협의했다.

채권은행장들은 이 모임에서▶기아자동차가 다른 계열사나 협력업체들에 서 준 지급보증의 처리문제▶부도유예기한이 만료한 뒤에 만기가 돌아오는 어음의 결제대책▶회생가능성이 희박한 기아계열사들의 정리문제등에 관해 논의했다.

또 17일에는 林장관.柳행장이 박제혁 (朴齊赫) 기아자동차사장을 만나 정부와 채권단의 입장을 전달하고 부도유예기한이 만료하기 전에 구체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기아그룹 고위임원은 "3자회동에서는 구체적 문제까지 집중 논의됐다" 고 밝혀 ===기아사태 해결의 최대관건이 되고 있는 ===金회장 퇴진및 노조동의서 제출의 시기와 방법등이 집중 논의됐음을 시사했다.

한편 제일은행의 의뢰로 기아그룹 자산실사작업을 맡은 한국신용정보는 기아그룹계열사 가운데 기아자동차 하나만 정상화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계열사및 협력사들에 대한 채무보증과 금리부담 경감 (輕減) 여부가 회생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기아특수강의 신용평가를 담당한 한국기업평가도 자력회생 가능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아그룹의 경영평가작업을 맡은 안건회계법인은 기아자동차가 정상화할 경우 부품을 제조하는 기아정기.기아전자.기아모텍.기아중공업등 4개 계열사들은 함께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재훈.남윤호.유권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