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도 CO₂도 줄여라 친환경 소형차가 대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기아자동차는 제네바 모터쇼에서 젊고 스포티한 도시형 컨셉트카 ‘No3’를 내놨다. [기아차 제공]


세계 5대 모터쇼로 손꼽히는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가 3일(현지시간) 개막됐다.

15일까지 제네바 팔렉스포 전시장에서 열리는 이번 모터쇼에는 친환경으로 단장한 소형차 등 60여 종의 신차가 출품됐다. 10∼15년 후 미래 자동차 모습을 가늠하게 해주는 컨셉트카도 경제 불황을 반영했다. 개발비를 아껴 1~2년 내 출시될 신차를 만들어 컨셉트카로 전시한 게 특징이다.

79회째인 제네바 모터쇼는 스위스가 중립국가인 것처럼 국제 모터쇼 중 유일하게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는 나라에서 열려 세계 주요 업체들의 신차가 대거 나왔다. 올 1월 열린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에는 일본·유럽 업체 상당수가 불참했다.

◆국산차는 소형차 중심=20대를 전시한 현대차는 컨셉트카 ‘익쏘닉’과 소형차 ‘i20 3도어’를 최초로 공개했다.

소형차인 익쏘닉은 유럽풍의 도시 감각을 반영한 역동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이 특징이다. 최고 출력 177마력의 1.6L GDi 터보차저 엔진을 달았다. 6단 변속기와 정차 때 엔진이 자동으로 멈추는 ‘스톱&고’ 시스템을 달아 연비를 개선했다. 1~2년 내 유럽 전용 모델로 출시된다. i20 3도어는 유럽 전략 소형차 i20의 변형 모델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낮췄다. 1.2L 가솔린 엔진을 달고 최고 78마력을 낸다.

기아차는 신형 컨셉트카 ‘No3’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기아차 유럽디자인센터에서 만든 이 차는 천장을 유리로 만든 소형 다목적차(MPV)다. 유럽에서 올 하반기 출시될 양산차의 시험 제작차다. 기아차 고유의 패밀리 룩이 적용된 라디에이터 그릴과 전조등이 특징이다.

GM대우는 올 9월 국내 시판할 마티즈 후속 모델 ‘스파크’ 양산차를 내놓았다. 길이가 3640㎜로 기존 마티즈보다 145㎜ 길어져 경차라기보다는 소형차에 가깝다. 타이어도 준중형급에 사용하는 15인치 휠까지 쓸 수 있게 했다. 핸들을 모터사이클처럼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1000cc 엔진을 달고 최고 66마력의 힘을 낸다. 연비는 L당 20㎞(5단 수동 기준)에 달한다.

◆유럽은 친환경 디젤로=유럽 업체들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친환경 디젤과 하이브리드차를 많이 내놨다. 푸조는 올 하반기 출시할 하이브리드카 ‘3008’을 처음 공개했다. 이 차는 최고 출력 200마력, 최대 토크 30.5㎏·m의 성능에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당 109g으로 일반 중형차의 절반 수준이다. BMW는 자사 차 가운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적은 소형차 뉴116d 디젤을 내놓았다. 연비가 20㎞/L 이상 나온다. 대형 디젤 모델인 뉴 730Ld도 선보였다.

아우디는 온·오프로드 주행에 적합한 4륜 구동 시스템을 단 ‘A4 올로드콰트로’를 공개했다. 험한 길 주행에 맞게 차고를 살짝 높였지만 세단의 주행 성능도 갖췄다. 엔진은 211마력의 2.0 가솔린 TFSI와 170마력의 2.0TDI 디젤, 240마력의 3.0TDI 디젤 세 종류다. 함께 선보이는 ‘TT RS’는 5기통 2.5L 터보 엔진을 달고 340마력의 출력을 낸다.

폴크스바겐은 국내에서도 매니어층이 두터운 신형 ‘골프 GTI’를 출시했다. 기존 모델보다 출력이 10마력 높아진 210마력에 시속 100㎞까지 가속하는 데 7.2초 걸린다. 볼보는 차세대 친환경 모델 S60 컨셉트카와 XC60· XC70을 최초로 공개했다.

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