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특수강 공동경영때 자금 어떻게 조달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아.현대.대우가 합의했다는 기아특수강의 공동경영이 어떤 형태를 취할지 정확히 가늠하기 힘들지만 자금흐름과 관련해 예상되는 문제를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급한 것은 부도를 면하는 일이다.

96년중 영업활동에서 발생했던 현금부족분 5백20억원을 감안하면 이 정도의 운전자금과 상환이 돌아오는 어음을 지급하는데 최소한 1천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96년말 기아자동차.아시아자동차.기아정기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 26.1% (사주조합 1.49% 제외) 를 3사가 공동인수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를 균분하면 현대.대우가 기아지분중 각각 8.7%씩 매수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 정도 지분확보로 경영권의 완전 장악이 가능하겠느냐는 문제는 물론 앞서 언급한 3사에만 약간의 자금 (1백10억원) 이 들어올 뿐 기아특수강의 자금문제를 직접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기아특수강이 당면한 자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새 돈이 들어와야 한다.

첫째, 유상증자는 기아특수강의 지난 수년간 적자로 인해 증권거래법상 증자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주인수가 원칙이고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일반공모에 한해 제3자인수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현실적 방안으로 보기 어렵다.

둘째, 사모전환사채 (CB) 를 발행한 후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경영권확보나 자금투입 양면에서 공동경영의 실질적 방안이 될 수 있으나 소액주주들의 지분이 희석되기 때문에 한화종금의 경영권 방어 케이스와 유사한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동시에 전환사채를 누가 인수할 것인가도 문제될 가능성이 있다.

즉 계열 상장사들이 인수할 경우 해당 기업의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예상할 수 있어 비상장 계열사를 동원하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현대.대우의 보증으로 채권단이 추가자금을 제공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두 그룹의 신용으로 봐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얘기다.

이 경우 해당 개별사의 이사회결의를 거쳐야 한다.

어느 방법을 택하든 두가지 기본적인 문제는 미해결로 남는다.

하나는 기존의 1조3천억원의 부채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궁극적으로 흑자를 달성할 수 있느냐다.

특히 흑자달성은 매출이 늘고 비용은 줄어드는 '양동작전' 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매출은 특수강에 대한 수요에 좌우되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 기아특수강의 능력밖인 문제다.

그러나 비용은 다르다.

96년도 매출중 노무비를 포함해 매출원가가 91.2%, 여기에 간접비를 포함했을 때 98.7%를 차지했다.

물론 이자비용 28.9%는 별도다.

결국 손익분기점을 대폭 낮춰야 하는데 여기엔 노조와 채권단의 양보가 관건이 될 것이다.

권성철 전문위원.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