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 행정개혁…유사부처 통폐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북한은 행정부에 해당하는 정무원 (政務院) 조직을 개편했다.

양곡문제를 담당하는 양정부는 인민봉사위원회 (위원장 孔鎭泰) 직속으로 하고 핵문제를 담당하는 원자력총국 등 4개 부서는 정무원 부서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밝혀졌다.

29일 입수된 북한의 96년판 '조선중앙연감' (96년 12월 발행)에 따르면 정무원의 독립부서였던 양정부는 정무원내에 새로 설치된 상업부와 함께 인민봉사위원회 직속기구로 개편됐고 철도부.해운부도 교통위원회 소속으로 바뀌었다.

또 원자력총국과 국가체육위원회.해외동포영접총국.기상수문국 등 4개 부서는 비정무원 부서가 돼 조직기구 표에서 사라졌다.

이에따라 정무원은 22부.12위원회.5국 (局).1은행.1원 (院)에서 21부.11위원회.2국.1은행.1원으로 개편됐다.

북한은 특히 김일성 사망직후 발간된 95년판 연감에서 김일성 (金日成) 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 김정일 (金正日) 을 '국방위원회 위원장' 으로 표기했던 것과는 달리 96년판에선 김일성.김정일 관련 직책을 삭제하고 정무원 총리 강성산 (姜成山) 과 부총리들의 직책.이름을 소개하던 난도 없애 눈길을 끌었다.

통일원당국자는 "김일성 사망이후 정무원의 조직개편 내용이 북한당국에 의해 확인된 것은 처음" 이라면서 "상업유통.식량수급 등 경제관련 전문부서의 부활과 유사부처 통폐합으로 효율을 꾀하고 해외동포영접총국 등을 정무원과 별개의 외곽기구로 내보낸 것이 눈에 띤다" 고 말했다.

북한은 총리.부총리.위원장.부장들과 그밖의 성원들로 구성되는 정무원을 "최고주권기관의 행정적 집행기관" 이고 규정하고 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