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심어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처리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골칫거리다. 중금속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독성이 강해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공동으로 포플러와 미루나무·버드나무·현사시 등을 심어 침출수 처리에 나선다. 에너지 생산용 목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덤이다. 두 기관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3만여 그루의 묘목을 만들고, 2016년까지 수도권 쓰레기 매립장에 심을 계획이다.’바이오순환림’ 조성 사업이다. 나무를 심을 면적은 275㏊에 이른다.

이들 나무는 속성수로 침출수나 중금속 등을 잘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포플러의 경우 난지도 쓰레기매립장에 심어 그 성가를 이미 확인했다. 10년생이면 그 키가 24m, 둘레가 28.5㎝에 이르렀다. 침출수 원액과 물을 절반씩 섞어줘도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물질을 생장의 영양소로 사용하고, 수분은 잎의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포플러는 토양의 질소 오염물을 10분의 1~20분의 1로 줄여주며, 제초제도 10~20%를 흡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플러와 버드나무는 꺾꽂이로 번식이 가능하고 관리 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바이오순환림 사업으로 침출수 처리 비용을 크게 줄이고,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목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하게 된다. 목재는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연료로도 쓰일 수 있다. 목재는 3년마다 수확할 계획이다.

미국과 스웨덴·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이런 사업을 통해 연간 100만t 이상의 펠릿(톱밥을 뭉쳐 만든 원통형 땔감)을 생산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