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아관련 실무대책위' 주요 내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19일 열린 첫 기아관련 실무대책위원회는 정부가 기아사태 수습에 본격적으로 나섰음을 의미한다.

강만수 (姜萬洙) 재정경제원차관은 "기아그룹이 회생할 가망이 없으면 아예 협약 적용도 받지 않았을 것" 이라고 말했다.

다만 회생까지 시간이 필요하므로 그동안 ▶금융시장에 대해선 정부가 직접 나서고 ▶기아그룹과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채권금융기관이 나서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다.

한보때는 공장을 짓다가 문을 닫았으므로 수입이 없었지만 기아는 계속 수입이 있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姜차관은 강조했다.

19일 마련된 정부 주요대책을 소개한다.

◇협력업체 지원 = 금융기관들이 말을 안들어도 정부가 불이익을 줄 방법이 없다.

다만 정부 방침에 협조해 기아발행 어음을 대출로 바꿔주는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국고와 외화자금을 우선 지원하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특례보증으로 업체당 2억원까지 지원하면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신용보증기관들이 보증을 기피할 수도 있어 협력업체들이 실제 도움을 받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금융기관 지원 = 협력업체들에 대한 금융기관 지원분은 한국은행이 환매채 (RP) 매입을 통해 자금을 메워준다.

대외 신인도를 유지하기 위해 한은이 보유한 외화자금도 풀기로 했다.

◇기아그룹 처리 = 포철은 기아그룹에 철강재를 계속 공급하게 된다.

정부는 포철이 계속 공급하면 혹시 다른 기업이 철강재를 공급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기아특수강 해외 전환사채 (CB) 는 산업은행이 대신 갚도록 했다.

이는 상환에 문제가 생길 경우 기아자동차가 발행한 2억1천만달러의 해외증권에 대해서도 조기 상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고현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