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미스터 스마일’ 언제 돌아올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2일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2009년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한 해가 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안성식 기자]

민주당 정세균(진안-무주-장수-임실) 대표의 별명은 ‘미스터 스마일’이다. 잘 웃는다고 해서 붙여졌다. 하지만 지난 연말 입법 전쟁을 거치며 정 대표의 얼굴에선 웃음이 사라졌다. 그는 이후 전국을 순회하며 장외 집회를 열면서 비장한 표정으로 단상에 올랐다. 1일엔 진보정당·시민단체와 공동으로 용산 사건을 규탄하는 장외 집회를 열기도 했다.

그의 ‘무타협’ 노선을 두고 당내에선 “원래 강단 있는 스타일”(이규의 부대변인)이라는 평가와 “예상했던 것보다 더 강경한 노선”(대변인실의 한 당직자)이란 반응이 엇갈린다.

두 가지 반응엔 이유가 있다. 정 대표는 1996년 15대 국회의원이 된 이후 2007년까지 모두 일곱 차례에 걸쳐 정치부 기자들이 뽑은 ‘백봉신사상’을 탔다. 신사적인 매너를 보여 준 의원에게 주는 상이다.

하지만 한나라당과의 관계에선 늘 양보와는 거리가 멀었다. 2001년 한나라당과 자민련이 법인세 인하를 추진할 때 정 대표는 대기업(쌍용그룹) 출신임에도 “혜택은 대기업에 가고 부담은 국민이 진다”며 반대했다. 그는 2005년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시절에도 그랬다. 한나라당에선 그를 “중도 실용주의자”(김덕룡 당시 원내대표)라며 반겼지만 정 대표는 한나라당이 반대했던 사립학교법 개정과 신행정수도 관련법 등을 밀고 나갔다.

그러나 최근의 강경 모드엔 경험적 교훈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 안팎의 입지가 취약했던 정 대표는 지난 연말 본회의장 점거로 나름대로 입지를 굳혔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한다. 10%를 맴돌던 당 지지율이 20%를 넘었다는 보도가 나왔고, 강경파들로부터 “잘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그는 1월 초 한 여론조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부문에서 처음 2.8%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 대표를 움직이는 또 다른 요인으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 손학규 전 대표와의 ‘보이지 않는 경쟁’을 꼽는 사람들도 있다. 전북 출신의 한 재선 의원은 “대중적 인지도가 떨어지는 정 대표로서는 두 사람의 복귀 전에 야당의 리더로서 위상을 확고히 하려는 마음이 크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특히 같은 전북 출신인 정 전 장관의 복귀설에는 크게 신경 쓴다는 게 주변의 전언이다.

정 대표는 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2월 국회를 일자리 창출 국회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모든 정당이 참여해 일자리 나누기 등을 논의하는 ‘경제위기 극복 및 일자리 창출 특별위원회’ 설치도 제안했다. 이어 그는 ▶국가 재정으로 중소기업 보증 여력 100조원까지 확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재정 지원 ▶공공 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 이상 창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동시에 이명박 대통령에게 ▶용산 참사 책임자 문책, 국민 사과 ▶대북 강경 노선 포기와 비중 있는 대북 특사 파견 등도 촉구했다.

그러나 이것이 여당과의 타협을 위한 제스처는 아니다. 한 핵심 측근은 “쟁점 법안의 여당 단독 처리를 막겠다는 의지는 더 강해진 상태”라고 전했다.

 임장혁·백일현 기자, 사진=안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