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수 높이는 대신 대지 25% 녹지로 기부채납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99호 04면

압구정지구 조감도

서울 여의도와 강남 개발은 한강 정비로 막이 올랐다. 1968년 윤중제와 70년 서울대교(현 마포대교) 준공으로 여의도가, 69년 12월 제3한강교 완공과 함께 영동지구가, 70년대 초반 잠실섬 육지화 사업으로 잠실지구가 각각 개발됐다. 한강을 손댈 때마다 신시가지가 하나 둘씩 들어섰다. 40년 만에 다시 한강변이 요란해질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야심 차게 추진하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때문이다. 80년대 전두환 대통령 시절 시멘트로 덮었던 한강 둔치의 접근성을 높이고 친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어 지난달 19일엔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이 나왔다. 병풍처럼 늘어선 성냥갑 아파트가 점령한 한강변을 시민 모두에게 돌려준다는 구상이다.

서울시 ‘한강 공공성 회복’ 구상

원리는 간단하다. 서울시가 제시한 아파트 주민 설득 방안은 최고 50층 아파트를 짓게 해 주고 대지의 25% 정도를 내놓게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를 ‘합리적 거래’라고 표현했다. 한강변 공공화는 도시계획가들의 숙원이었다. 한강변 주거지역을 뒤편의 상업지역과 맞바꾸는 아이디어를 낸 이도 있었다. 오세훈 시장은 이 꿈을 정책화했다. 오 시장은 지난해 7월 말 월간중앙 정치포럼 특강에서 “20~30년 뒤에는 한강의 레이아웃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한강변을 ▶전략정비구역 ▶유도정비구역 ▶일반관리구역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정비할 방침이다. 이 구상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초고층 허용이다.

강남의 노른자위인 압구정지구 115만㎡에는 최고 50층, 평균 40층 전후의 아파트가 들어설 전망이다. 여의도공원 동쪽 여의도아파트 지구 55만㎡는 ‘높이완화구역’에 속해 시범·삼부·한양 등 이 지역 중층 아파트들이 초고층 주상복합으로 변신할 전망이다. 주거지역을 상업지구로 용도 변경할 경우 용적률이 크게 높아지는 만큼 기부채납 비율은 40%로 올라간다. 상업지역엔 층수 제한이 없는 곳도 있어 100층 안팎의 초고층 빌딩이 들어설 수 있다. 성수지구는 서울숲 동쪽에서 영동대교 북단에 이르는 64만㎡ 규모의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이다. 이곳은 ‘높이유도구역’으로 최고 층수 50층, 평균 30층의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가 세워질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