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원.서울大총학생회 '통일 공개토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시각 차이는 미리 예상했던 것입니다.조금이라도 불신의 벽을 허물고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데 의미를 둬야지요.” 정부당국과 대학 총학생회가 머리를 맞대고 통일정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18일 서울대에서 처음 마련됐다.

통일원과 서울대 총학생회는 이날 오후 서울대 문화관 소강당에서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통일정책 공개토론회'를 열고 식량지원과 창구단일화,4자회담 개최등 민감한 사안을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이날 토론회는 지난 3월 통일원이 서울대 총학생회에'판문점 견학등 통일교육에 참가해달라'고 요청한데 대해 서울대 총학생회가'일방적 교육보다는 토론형식이 좋겠다'고 제의해 이뤄진 것. 서울대 총학생회 이창민(李昌旻.24.경제학부4)정책실장은 이날 토론에서“통일을 위해선 민간교류 활성화를 통한 신뢰증진이 필수적이므로 정부가 창구를 독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통일원 산하 통일교육원 양재성(梁在成.45)교수등은“동포이자 최대의 체제위협 세력이기도 한 북한의 현실적 위상으로 볼 때 자칫 역이용당할 수 있다”는 반론을 폈다.

최근 진행중인 북한 쌀지원에 대해서도 학생들은“조건을 달지 않고 가능한한 많은 양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통일원측 토론자들은“우리의 뜻대로 굶주림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에게 전달되는지 냉정하게 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양측은 범민족대회에 대해서는“주최측인 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은 남북한에 대해 객관적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하며 지난해 연세대 사태에서 보여준 것처럼 폭력투쟁으로 국민에게 외면당하고 있다”고 같은 평가를 내렸다.서울대 이석형(李碩炯.26.고고미술4)총학생회장은“학생들이 정부의 통일논의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사실이지만 서로 배척할 것이 아니라 공유점을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통일교육원 김영구(金泳邱.42)기획과장도“학생들이 방대한 분량의 자료를 준비하는등 통일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어 흐뭇하다”고 말했다. 나현철.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