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검찰수사에 간섭말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태수(鄭泰守)리스트의 철저규명을 외치던 정치권이 검찰수사가 진행되자 조기매듭론을 들고 나왔다니 기가 막힌다.한보사태는 정(政)과 경(經)이 유착되면 안될 일이 없고,그 부작용은 또 얼마나 큰가를 보여준 사건이다.돈받은 정치인들에게도 책임이 있다.돈받은 입장에서는 정치자금이라고 하겠지만 수천만원 내지 억대의 돈을 왜 주었겠는가.기업의 돈에는 당장이든 나중이든 대가성이 담겨 있다.하물며 사업성이 검증되지도 않은 사업을 한다며 5조원이나 되는 돈을 끌어다 쌈짓

돈 쓰듯이 한 기업인의 돈에 있어서랴.

그런데도 정치권에서는 검찰의 칼날이 자신들을 향해지자'음모설'이니,'초점흐리기'니 하더니 조기에 종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검찰에도 그 파장이 전달되고 있다고 한다.물론 수사의 기법과 원리상 수순이라는 것이 있기는 하다.그런 점에서 한보비리의 몸체가 드러나지도 않았는데 꼬리부터 도린다는 지적이 있을 수는 있다.그렇다고 정국불안을 이유로 부패정치인에 대한 처리를 대충 넘길 수는 없는 일이다.

정치권의 한보 환부는 아직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검찰수사결과 곪은 곳이 있으면 짜내고 염증의 조짐이 있으면 약을 쓰면 된다.수사가 진행되는 마당에 정치권이 특정정파나 계파의 이해를 따져 이래라 저래라 할 일이 아니다.정치권의 간

섭으로 수사가 왜곡되면 결국 그 피해가 정치권뿐 아니라 국가 전체에 미칠 것이다.정치권이 할 일은 겸허하게 수사를 지켜보고 그 결과에 따라 치유책과 예방책을 찾는 것이다.

검찰도 이럴 때일수록 중심을 잡고 원칙대로 해야 한다.다행히 수사팀은 그같은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우려되는 것은 수사팀과 검찰수뇌부의 갈등이 비치는 점이다.알려진 바로는 정계의 중진을 포함한 일부 부패정치인의 사법처리가 불가피한 상태다.그렇다면 몸체의 규명과 처리도 정상적인 모양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검찰수뇌부도 검찰조직이 또 한번 상처를 입는 일이 없도록 자세를 가다듬기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