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철강회오리>정치권 소문 무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보철강 사태가 불거지면서 정치권에도 갖가지 소문이 무성하고뒤숭숭하다.신한국당쪽에서는 야당이 한보비리를 입수해 터뜨리려 하자 정부가 먼저 선제조치를 취했다더라는 소문이 있는가 하면,정작 야권에서는 명확히 제시되는 비리증거가 없이 루머만 가득하다. 한보철강 사태를 정경(政經)복합비리로 규정하는 시각이 많으며 공이 어느 쪽으로 튀든 대선정국에 미칠 영향이 큰 것으로보고 있다.여야 의원들이 지적한 의문점은 대략 4가지다.▶금융지원 과정의 불투명성▶일부 사업비의 유용가능성▶정치 권의 로비자금 유입가능성▶결과적인 정부의 정책판단 오류등이 우선 꼽힌다. 국민회의 김원길(金元吉)의원은“철강업 경험도 없고,수서(水西)택지분양 특혜비리사건의 여파도 남아 있는 한보에 5조원대를대출해 주면서 과정과 절차가 공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이상수(李相洙)의원은“한보철강의 사업규모가 눈덩이 구 르듯 커지는데도 주거래은행이 큰 소리쳐 가며 타은행 대출까지 알선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일부 자금의 유용가능성은 정치권이 보는 한보사태의 핵심이다.박광태(朴光泰)의원은“한보철강은당 설비비가 국제가격의 3배 가까이 된다”며 차액의 행방을 짚었다.로비자금으로 뿌려졌거나 부동산매입자금으로 전용됐다는 의혹제기다. 여야의원들은 한결같이“정부나 은행이 이를 몰랐다는 것은 이해가 안 간다”며 정치적 배경설,특혜설을 제기한다.국민회의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23일“권력 실세의 조종 없이 5조원을 융자받을 수 있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없다”고 지적했 다.
국민회의쪽에서는 정태수(鄭泰守)총회장이 경남진주 출신이며 평소여당 민주계의원들과 친분이 두터웠다고 주장하고 있다.구체적으로몇몇 의원이 거명되고 있다.물론 당사자들은“개인적으로 안면이 있는 정도”라며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야권은 현정부 들어 크고 작은 비리가 터질 때마다 이름이 들먹거린 여권의 핵심실세 인사에게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하경.김진.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