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4일 한·중·일 정상회담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86호 01면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총리가 다음달 14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만난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1일 “3국 정상회의 일정이 14일로 잠정 합의됐다”며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3국 실무협의를 열어 의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연스럽게 미국발 세계 금융 위기에 대한 3국 간 공조 방안이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후쿠오카서, 3국 간 통화스와프 등 공조 논의

이에 따라 지난달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에서 한·일 정상이 합의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공동기금 조성’ 문제, 3국 간 통화스와프 확대 등 3국 공조방안이 어느 정도 논의될지 주목된다. 한·중·일 3국은 CMI 공동기금 800억 달러의 지분 참여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였다. 정부 당국자는 “15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와 후쿠오카 3국 정상회의 직전 열릴 3국 재무장관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금융위기에 대한 3국 공조 수준이 정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정상회의에서는 또 북핵 문제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문제로 인한 정세 변화 등 한반도 상황도 논의될 예정이다. 이 밖에 기후변화에 대한 3국 간 협력 방안, 식품 안전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외교가에서는 이번 정상회의가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한·중·일)’의 틀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열리는 3국 정상만의 만남이란 점에서 세부적 현안에 매달리기보다는 동북아 전체 미래를 담는 큰 틀의 공동선언을 채택하게 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3국 정상은 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담’에서 아세안과 별도의 회담을 정례적으로 하는 데 합의했다.

당초 9월 고베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추진됐지만 독도 영유권 문제로 한국이 소극적이었고, 이어 후쿠다 야스오 총리가 갑작스럽게 퇴진하면서 연기됐다. 외교소식통은 “아소 정권이 취약한 국내 정치적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3국 정상회의에 공을 많이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