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개선책 짚어보면-공동배차.운영 도입 서둘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시내버스 노선조정의 합리성과 투명성 확보,쾌적한 서비스제공을위해 「공동배차.공동운영」방안이 시정개발연구원등 교통관련 전문기관에서 제시되고 있다.
1단계로 노선을 공동관리한뒤 2단계로 수입금,최종적으로 차량까지 공동관리하는 방안이다.
이는 노선에 따른 버스업체간의 수지 불균형을 완화하고 버스운영 관련시설을 공동으로 이용,비용절감의 이점이 있다.
이와함께 공동배차의 전단계로 노선 입찰제 도입도 제시된다.
노선을 전면 개편해 소위 「황금노선」을 없애고 버스업체를 산업합리화 업종으로 지정,소규모.적자업체는 과감히 정비한다는 것.서울시정개발연구원 황기연(黃祺淵)박사는 『황금노선의 독점과 적자노선 운행기피가 최대의 문제점』이라며 『시.업 체.시민단체등이 포함된 노선 심의기구를 구성,합리적이고 투명한 노선조정이이뤄져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외국의 예=미국.일본.영국.프랑스등 선진국들은 시내버스 운영을 민영.공영의 혼합형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공영 시내버스는 대부분 수익성이 떨어지는 노선과 오지노선을 운행하며,민영 시내버스는 장거리노선에 투입된다.
영국의 경우 82년이후 면허개방과 자유경쟁을 통해 민영화를 추진해 적자노선에 대해서는 「보조금 입찰제」를 시행하고 있으며,프랑스는 버스.지하철을 표 1장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복합운영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한편 버스요금제도의 경우 일본 도쿄(東京)은 도영(都營)버스요금을 2백엔으로 묶고 민영 시내버스는 거리 비례제를 도입해 업체별.거리별로 차등을 두고 있으며 버스요금은 도쿄도가 원가보상 원칙에 따라 2년마다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