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이퍼 씨티그룹 부회장 “97년 고통 덕에 튼튼해져 한국기업 건전성 문제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한국 기업들과 금융회사들은 과거 외환위기의 ‘고통스러운 교훈(painful lesson)’을 얻으면서 훨씬 튼튼해졌다. 지금의 금융위기는 한국 내부가 아닌 외부의 폭풍에서 생긴 것이다. 극복하고 나면 한국이 그 어느 나라보다 유리한 위치에 올라설 것으로 본다.”

매일경제가 주최하는 세계지식포럼 참석차 방한한 제프리 셰이퍼(사진) 씨티그룹 부회장은 16일 “세계 금융위기가 한국엔 위기인 동시에 큰 기회”라고 말했다. 그는 미 재무부 국제경제 담당 차관보에서 1997년 씨티그룹 글로벌마켓 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뉴욕 코리아 소사이어티와 미국 내 한국경제자문위원회 멤버로 참여하며 한국의 금융위기 때마다 조언을 해왔다.

-이번 금융위기 원인은.

“원인은 많다. 그러나 본질은 인간의 본성이다. 돈을 빌려주고 갚는 일을 반복하면서 많이 빌려 높은 수익을 올리는 데 사람들이 익숙해졌다. 금융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보다 투기적으로 굴리게 된 것이다. 이는 인간의 본성에 가깝다. 앞으로도 비슷한 위기를 반복해서 겪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카드대란 당시 ‘한국의 신용위험 몰이해’가 부실의 원인이라며 질타했다. 또 대출관행도 문제 삼았다. 최근 금융위기 전개 과정을 보면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이 그동안 이머징마켓에만 이중잣대를 들이댄 게 아닌가.

“아니다. 똑같은 원인으로 지금 미국이 고통받고 있지 않은가.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 중국에 가서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런데 정작 미국에서 (회계 부정으로 야기된) 엔론 사태가 터졌다. 지배구조의 투명성이 중요하다는 건 어디나 마찬가지다. 다만 미국 내부의 부실을 그때 몰랐을 뿐이다. 자산이 급격하게 불어나면 위험 신호인데, 서브프라임이 확산될 때 위험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했다. 이제 한국 사람들이 ‘미국도 별 수 없구나’라고 상대적인 만족감을 느낄 것 같다.”

-그런데 외국 신용평가사와 언론들은 계속 한국의 건전성을 문제 삼는다.

“일부의 얘기다. 한국은 외환위기나 카드대란 당시의 고통스러운 교훈 덕에 금융시스템을 잘 갖췄다고 본다. 금융을 떠받치고 있는 한국 기업도 튼튼하다. 수출시장을 다변화해 경쟁력을 두루 갖춘 나라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데.

“규제의 방향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 금융기관의 건전성 등 한쪽만 바라보면서 정작 소비자에게 소홀했다. 또 당장 급한 불을 끄겠다면서 금융회사 종사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치했다.”

안혜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