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만큼만 하면 成佛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82호 02면

이웃이나 아는 이들은 우리 집을 ‘다산이네’라고 부르지 ‘창수네’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이름이라는 것은 원래 남이 불러줄 때만 의미를 갖습니다. ‘다산이네’ 하는 것은 집에서 저의 존재가 다산이만 못하다는 걸 뜻합니다. 게다가 내 밥보다 다산이 밥을 더 챙기는 마누라를 볼 때는 내 잘못이 크다 해도 그 참담함이 더합니다. 다산이는 사람의 마음을 홀리는 능력이 뛰어난 개입니다. 과자라도 하나 손에 들고 있으면 우아함과 비굴함, 고매함과 처량함을 적절히 섞어 과자뿐 아니라 마음까지 제 앞에 내려놓게 만듭니다. 사람의 마음을 요리조리 들었다 놨다 합니다.

이창수의 ‘지리산에 사는 즐거움’

도회지에서 ‘예삐’ ‘뽀삐’ ‘해피’ 등으로 불리는 ‘견’들을 키우는 집에 사는 아저씨들은 무고하신지요. 저처럼 그 ‘견’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이나 소외감은 없으신지요. 혹 저만 그런 건가요?

‘개만큼만 하면 성불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본래의 진실한 마음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개 같은 마음으로 살아갑시다, 사람들이여.



농사꾼 사진가 이창수씨가 사진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