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의 시대 … 당분간 환율·금리 오름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국 정부의 7000억 달러 구제금융 법안에 대한 기대가 컸던 만큼 의회의 부결이 세계 금융시장에 미친 충격도 컸다. 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졌다. 미국 의회가 수정법안을 통과시키기까지 무슨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 수정법안의 내용이 애초 미국 정부의 법안보다 나을 거라는 보장도 없다.

미국 금융위기가 유럽으로 옮겨 붙고 있는 것도 변수다. SK증권 오상훈 센터장은 “미국 위기가 수습돼도 유럽에서 위기가 재연될 것”이라며 “당분간 시장 불안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동부증권 백관종 상무는 “미국 의회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정부가 얼마나 빠르고 과감하게 금리 인하나 미국 국채 매입과 같은 공조에 나서느냐가 사태 수습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금융시장도 그 여파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기본적인 불안 요인이 외부에서 들이닥친 것이어서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가 많지 않아 경기 침체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대부분의 전문가가 당분간 환율과 금리는 오름세를 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이 고비를 넘기면 환율·금리의 오름세가 한풀 꺾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세계적인 불황으로 석유 소비가 줄고 있어 국제 유가는 머지않아 떨어지고, 이에 따라 한국의 경상수지 적자도 감소할 것이라는 얘기다.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가 실행에 옮겨지면 국제 금융시장을 옥죄고 있는 달러 가뭄이 풀릴 것으로 보는 전문가도 많다.

국내 증시는 30일 다른 국가에 비해 충격을 덜 받았다. 공매도 규제 강화로 외국인의 팔자 물량이 줄어든 게 수급 불균형을 해소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근본 대책은 될 수 없다. 오히려 실물경제 위축의 충격이 갈수록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래에셋증권 황상연 센터장은 “주가를 움직이는 가장 근본적인 힘은 실적”이라며 “선진국 불황의 여파로 국내 수출기업의 실적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게 증시에 가장 큰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수입보다 수출이 더 빨리 둔화하고 있다.

정경민 기자

[J-Hot]

▶ 이순재 "며느리·시아버지 불륜 시청률50% 그러나…"

▶ 신촌연세병원장 "친딸 2명 포함 자녀 52명"

▶ "10조 투자 국산무기, 경제효과 115조 넘어"

▶ YS "늘 나를 어린애 취급, 잘 있거라 하시더니…"

▶ '페일린 나체 그림' 벽에 건 술집 '대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