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금융 위기' 한숨 돌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정부가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CBO)을 은행 대출로 바꿔주는 방식으로 만기를 연장해 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벤처기업 대란설'은 한고비를 넘기게 됐다.

27일 기술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정부가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2조2000억원 규모의 벤처기업 프라이머리 CBO를 은행 대출을 통해 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즉 2001년 프라이머리 CBO를 발행할 당시 지급보증을 섰던 기술신보가 은행에 대출금 지급보증을 하고, 은행은 이 보증서를 바탕으로 해당 벤처기업에 대출해 CBO의 원리금을 갚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기술신보에 따르면 2001년 프라이머리 CBO를 발행한 벤처기업 808개사 가운데 3월 말 현재 242개 기업이 도산했다. 이들 업체가 발행한 CBO의 원리금은 6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실상 떼인 셈이다.

문제는 아직 살아있는 벤처회사들이다. 기술신보 관계자는 "현재 정상영업 중인 566개사 중 66개사만 제대로 원리금을 갚을 수 있고, 나머지 500개사는 은행 대출을 알선해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벤처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금사정에 따라 대출금 규모를 차등 적용하겠다"고 설명했다. 가령 여유 자금이 원리금의 70%가량 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나머지 30%에 대해서만 대출금 지급보증을 한다는 식이다. 또 여유 자금이 한푼도 없지만 성장 잠재력이 인정되는 기업의 경우 원리금 전액을 대출토록 해줄 방침이다. 잠재력도 없고, 돈도 없는 기업은 과감히 부도처리할 전망이다.

◇프라이머리 CBO=자산유동화 전문회사가 벤처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담보로 잡고 여기에 신용보증기관이 보증을 붙여 새로 발행한 채권. 주로 기관투자가들이 사갔다.

이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