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책임 덜 따르는 예금.섭외계 부서 인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0면

「대부계.당좌계.외환계」.
예전엔 은행원 가운데 최고 인기부서들이었다.개인.기업등 고객들과 직접 상대하는,이른바 「끗발」있는 파트였다.
그러나 요즘은 사정이 달라졌다.금리자유화와 함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은행문턱이 낮아지는 가운데 고객의 입맛이 까다로워지는 등 여건변화에 따라 부서 선호도도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은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이들은 더이상 인기부서가 아니다.심하게 말해 힘들어 회피하는 「3D 부서」로 전락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반면 예금계.섭외계(재테크 상담사).기획계(후방 사무계)등 책임이 덜 따르는 파트에 대한 인 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대부계의 경우를 보자.자금사정이 어려웠을 때는 앉아서 큰소리를 칠 수 있었고,간혹 사례비(대출 커미션)를 챙기는 재미도 있었다.그러나 이제는 뛰어다니면서 「대출 바겐세일」에 나서야 하는 형편이 됐다.
부실대출을 줄이라는 본부의 성화와,단 한푼의 이자라도 꼼꼼히따지는 고객 사이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왜 다른 은행에 비해 조건이 불리하느냐』『신문에 난 내용과 틀린다』『세금 문제는 어떻게 되느냐』는 등 고객들이 훨씬 까다로워졌다. 일부 은행에선 대부계를 벗어나지 못해 아예 은행을 떠나는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계도 과거에는 영어도 배우면서 기업들에 한 수 가르쳐주는등 소위 「폼」을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대기업이나 종합상사에는 오히려 고개를 굽히고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됐다.중소업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뛰는것은 물론 환율 급등락으로 손해를 보면 책임문제도 따르기 때문에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당좌계도 전같으 면 대기업에 뭉칫돈을 빌려주며 인심을 쓸 수 있었으나 요즘엔 개별업체 사정을 일일이 파악하고 예금계수를 맞춰야 하는 등 업무가 만만치 않다. 한 은행원은 『세월에 따라 직종에 대한 인기도가 달라지듯이 금융여건 변화에 따라 은행내에서 선호하는 부서가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박의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