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비리 혐의 문국현 대표 감싸지 말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에 대한 체포영장이 청구됨에 따라 국회가 체포동의안을 처리해야 한다.

헌법은 국회의원의 불체포 특권을 인정하고 있다. 의원은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않는다. 서구 민주주의가 싹트던 무렵부터 의원들에게 이런 특권을 인정해 온 것은 의회민주주의를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왕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다. 근대 이후엔 왕 대신 행정부의 공권력으로부터 입법부를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특권을 계속 인정해 왔다.

그러나 착각해선 안 된다. 특권은 입법부와 민주주의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지 결코 의원 개인이나 정당의 비리를 감싸주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문 대표의 경우 이미 구속된 같은 당 이한정 의원으로부터 비례대표 공천 대가로 6억원을 받아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회가 문을 열기 전 문 대표는 아홉 차례에 걸친 검찰의 출석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검찰에 따르면 문 대표는 직접 이 의원에게 재정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어음을 빌려 채권매입금과 기탁금 형식으로 돈을 냈다. 형식적으로는 당이 받은 셈이다. 문 대표가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는 근거다.

이는 서청원 친박연대 대표가 양정례·김노식 의원으로부터 돈을 받은 방식과 거의 같다. 서 대표는 서울중앙지법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당시 재판부는 “(서 대표가) 공직선거법 입법 취지를 정면으로 무시했다”고 꾸짖었다.

‘클린 정치’를 주장해 온 문 대표는 이미 검찰에 출두해 ‘클린 정치인’의 진면목을 보여주었어야 했다. 국회는 지난 13년간 비리 혐의 동료 의원에 대한 체포 동의를 하지 않았다. 민주주의와 무관한 집단이기주의다. 이제 국회는 문 대표에 대한 체포에 동의함으로써 클린 정치를 살리는 동시에 그간의 오명을 씻어야 한다. 그것이 의원들에게 특권을 허용해 온 국민의 뜻에 따르는 길이다. 그리고 검찰은 이번 사건을 문 대표와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던 이재오(한나라당) 전 의원 살리기로 의심하는 일부 음모론을 불식할 수 있도록 공정한 수사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