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국민 안심시키고 희망주는 회담 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대표회담이 성사될 전망이다. 비록 17대 국회 개원이 한달 이상 남았지만 나라 사정은 이를 기다릴 여유가 없다. 따라서 여야가 개원 전 회담을 열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 회담 성사를 위해 열린우리당이 탄핵 철회를 의제로 삼지 않겠다고 물러선 것이나, 한나라당이 수정제안에 선뜻 호응한 것은 모두 성숙한 자세라고 하겠다.

우리는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 말한 "국정의 90%는 경제다"라는 발언에 동감한다. 그가 "좋은 일자리가 생기면 막힌 것도 뚫린다"고 한 인식에도 같은 생각이다. 과반수를 차지한 열린우리당이 이에 걸맞은 정책과 책임의식을 대표회담에서 보여주기를 바란다.

전국 민생현장을 돌고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국회운영과 관련해 "실력저지를 하지 않겠으며, 법안 등을 처리한 정당이 책임지고 심판받도록 하겠다"고 한 말도 적절하다고 본다. 이를 통해 민주주의의 핵심인 다수결이 설 자리가 없었던 구태가 국회에서 사라지기를 기대한다.

이번 대표회담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17대 국회에서 여야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국민에게 선보이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회담이 선거 때 넘쳐났던 정치 이벤트의 연장이어선 안 된다. 아무쪼록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길 바란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여야의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를 인정하는 태도다. 선거라는 특수한 사정이 있었지만 당시처럼 자신은 선(善)으로 규정하고 상대를 악(惡)으로 몰아선 안 된다. 그래선 상생의 정치가 불가능하다. 또 대화의 틀에 민노당.민주당.자민련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형식도 대표급 회담뿐 아니라 정책 관계자들의 만남 등 다양한 채널을 확보할 것을 권한다. 대통령과의 회동 문제는 탄핵 심판 결과를 보고 정할 일이나, 그 전에도 정치권 대화에 정부 측이 참여해 활발히 의견교환을 하는 것은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