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상지·세종·조선대 이사회 없어 ‘업무 공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광운대는 임기가 끝난 이사들을 19일 임시 소집하기로 했다. 9월 직원 승진·전보 인사를 결재할 이사회가 없기 때문이다. 옛 교육인적자원부가 파견한 임시 이사들은 개정된 사학법에 따라 올 6월 30일 임기가 만료됐다. 그 이후로 정식 이사회는 구성되지 못했다. 광운대 김상훈 부총장은 “이사회가 없다 보니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며 “제2캠퍼스 조성 등 학교 발전과 관련한 중요한 결정이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광운대와 상지대·세종대·조선대가 이사회 공백 상태에서 2학기를 맞게 된다. 이들 4개 대는 학내 분규로 임시 이사가 파견된 분규 사학이다. 노무현 정권 때 개정된 사학법을 근거로 지난해 12월 출범한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이들 대학의 정상화 방안을 놓고 올 1월부터 대학 측의 의견을 들어왔다. 하지만 결론을 못 내렸다. 그러는 동안 6월 30일 옛 이사들은 모두 임기를 마쳤다. 다음 번 회의가 9월 4일로 예정돼 있는 데다 이 회의에서도 4개 대의 정상화가 어려울 것으로 사분위 위원들은 예상하고 있다.

◇속 타는 대학들=조선대는 9월 1일자로 교수 20명을 채용했으나 임용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사회가 없기 때문이다. 이 대학 전호종 총장은 “수강 신청을 받고 강의를 진행해야 하는데 그 절차가 미뤄지고 있어 학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 총장은 ▶정관 개정 ▶임상수기센터 건립 ▶간호사 신규 채용을 포함한 이사회 처리 안건을 들고 18일 교육과학기술부를 방문할 예정이다. 광운대처럼 옛 이사들을 임시변통으로 모아 결재를 받으려면 먼저 교과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상지대 관계자는 “사분위가 학교 분규 관계자들의 눈치를 보느라 조속하게 정상화 결정을 못 내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분위 박거용(상명대 교수) 위원은 “20년 넘게 계속돼 온 학내 분규 문제를 몇 달 안에 해결할 수 없는 일”이라며 “설립자 집안 내 형제 간 의견이 다르고, 학내 구성원 간 견해차가 커 조정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위원회 내 진보·보수 성향 위원 간 의견 차이도 조속한 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강홍준·민동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