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사건 5차공판-실체 드러낸 'K공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검찰은 22일 공판에서 12.12사건 이후 신군부측의 집권시나리오중 언론 길들이기 방안으로 알려진 「K공작계획」사본을 법원에 증거로 제출했다.표지에 「대외비」표시가 돼있는 이 문서는사령관 결재란만 작성돼 있고 기관명을 써놓았지만 이번에 공개된문서에는 이 부분이 가려진채 복사돼 있어 그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다. 검찰은 이와관련,권정달(權正達)전 보안사정보처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 계획서의 표지에 全씨가 자필로 결재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10쪽 분량의 보고서 내용은▶계획의 목적▶방침▶목표▶목표달성 방안▶단계별 계획▶대책반 편성▶소 요예산등 8개 항목으로 분류돼 있으며 주요내용은 언론계 회유방안이다. 계획의 목표는 「단결된 군부의 기반으로 지속적인 국력신장을 위한 안정세력을 구축함에 있다」고 돼있고,「오도된 민주화 여론을 언론계를 통해 안정세로 전환키 위해 언론계의 호응유도에주력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특히 「현상황과 목표」부분에서 시국관에 의한 정치세력을 유형별로 분석해 당시의 정치상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단계별 계획부분에서는 3단계 공작을 벌인다는 방침아래 그 단계별 시기를 정해놓고 있으며 1단계 공작결과 대상자를 다시 분류해 그 다음단계 계획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계획이 마련돼 있다. 이에 필요한 예산은 1단계 공작기간중 회유비로 9백4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으며,2~3단계의 공작기간중에는 4백만원가량인 것으로 돼있다.
「K공작계획」의 별첨부분에 나타난 회유공작 대상은 당시 7대중앙일간지,5대방송사,2대 통신사의 사장.주필.논설위원.편집국장.정치부장.사회부장등 총94명에 이른다.
특히 이들 공작대상 언론인의 출신지.성향.지지 정치지도자등까지 상세히 분석한 회유공작대상 명단이 수록돼 계획의 치밀성을 드러냈다.
이와함께 이 계획서에는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므로 「K공작」이라고 약칭한다고 씌어져 있는 대목도 들어있어 이 문서가 극도의보안속에 작성됐음을 반증하고 있다.
검찰은 「K공작계획」의 작성시기가 80년 3월중순께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용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