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黨首회담의 '말' 실천 따라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어제로 끝난 김영삼(金泳三)대통령과 3야당 당수간의 개별회담에서는 좋은 얘기가 많이 나왔다.가령 남북문제에 관한 초당적 협력이라든가,정치풍토 쇄신을 위한 공동노력,지역주의 완화 필요성 등에 의견일치를 보였다.우리는 이런 바람직한 합의가 모처럼열린 당수회담의 「모양」을 갖추는 일과성(一過性) 덕담에 그쳐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이런 합의를 한 이상 그것이 구체화되도록 하는 실현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예컨대 남북문제의 초당적 협력이 가능하자면 야당도 돌아가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보받고 의견을 제시하는 관행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당장 4자회담 제안 후 미국.중국의 동향과 북한 움직임 등에 관해 관계당국이 야당수뇌들에게 설명해주고 정부방침을 납득시키는 일부터 이뤄져야 할 것이다.정치풍토쇄신을 위해 단상점거나 농성 등을 하지 말자는 것도 매우 유익한 합의다.정말 이런 뜻이 있다면 각 정당은 의원총회 등에서 이런 방침을 정식당론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가 매우 주목한 논의사항의 하나는 지역주의 문제였다.김대중(金大中) 국민회의총재가 집권측이 먼저 지역차별을 철폐하면 책임지고 협조하겠다고 한 말도 눈여겨볼 만하고,여기에 金대통령이 『나와 金총재가 만난 것 자체가 지역주의 해소 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한 것도 인상에 남는다.이는 두 金씨가 자기들의 대립이 영.호남 지역대립의 중요 원인임을 알고 있다는뜻이 되고,아울러 책임감을 느끼고 있음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제부터의 정치행태에서 지역성 을 자극.강화하는 일체의언동이 나오지 않아야 지도자다운 처신이 될 것이다.우리는 앞으로 이런 점을 눈여겨보고자 한다.
선거사범 수사에 편파성이 없도록 하겠다는 金대통령의 약속도 꼭 지켜져야 할 것이다.
이번 개별 당수회담은 15대국회 개원(開院)에 앞서 정국을 대화와 타협쪽으로 이끄는데 일단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실제 안에서는 어떤 이견이나 마찰이 있었는지는 몰라도 여야지도자들이 오해를 풀고 인간적 신뢰감을 확대하는 모습은 그들 의 지지세력간 대립감 완화,타협에 의한 문제해결 기대감 등을 가져옴으로써사회 전반의 긍정적 분위기 조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