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단체도 안되는 민주당의 앞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당의 장래가 암울해졌다.원내교섭단체 구성 실패,지도부 전멸이라는 대참패를 기록했기 때문이다.게다가 석패한 당 간판 이기택(李基澤)상임고문도 정치를 잠시 쉬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힘 한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괴멸한 민주당의 행로는 어디일까.지도부중 유일하게 생환했고 대권도전의사도 밝힌 장을병(張乙炳)공동대표와 전국구로 당선된 이중재(李重載)선대위원장만으로 당 운영이 가능할까.
우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張대표와 李고문,서울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이부영(李富榮)최고위원 지도체제로 가는 모양새다.
원혜영(元惠榮)대표비서실장은 『張대표가 현재 공동대표로 있으니 그런대로 당 운영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한 핵심당직자도『張대표와 이부영최고위원 체제로 개편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그러나 총선패배의 책임을 물어 張대표를 포함,지도부 전원이물러나고 당내 개혁세력들이 당을 새롭게 정비하는 방안도 모색중이다. 이는 제정구(諸廷坵)사무총장과 이부영최고위원 등 총선직전 구성된 「새정치주체모임」이 은밀히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다른 방안은 무소속을 일부 추려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문제다.이는 李고문이 정치를 쉬지않고 계속 활발히 한다는 전제 아래서다.
李고문의 한 측근은 『영남 무소속을 중심으로 영입대상자를 파악 중』이라고 전했다.
그렇지만 이미 기울어진 당에 들어올 무소속이 있을 것 같지 않고 李고문 측근도 『李고문 자신이 의욕이 빠진 데다 마땅히 영입할 만한 무소속도 없는 상태』라고 말해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 마지막으로 예상되는 것은 『더욱 참담하기만 한 것』(이중재위원장)이지만 신한국당 등으로 당선자들이 개별흡수되는 것이다.장을병공동대표.이부영최고위원.이규택(李揆澤)대변인 등 당선자다수가 친YS(金泳三대통령)인사들이다.
정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