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진실 규명돼야 금강산 관광 재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 대변인은 논평에서 “이번 사건은 남북 관계만이 아니라 국제 관례로 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번 사건이 해결되지 않고는 금강산에 관광객을 보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성 관광에 대해서도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개성을 관광할 수 있도록 북한 당국이 신변 안전 보장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에 대한 북한 금강산지구 군부대 대변인 담화가 발표된 3일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홍양호 통일부 차관(왼쪽에서 셋째)이 긴급 간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김성룡 기자]

정부의 기조는 ‘냉정하고도 단호한 대응’으로 요약된다.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와 책임 소재 규명은 변함없이 추진해 나가겠지만 그렇다고 남북 간에 극한 긴장 상황을 만드는 식의 반응은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날 김 대변인이 “(피격 사망 사건은) 누가 봐도 잘못된 일”이라며 진상조사를 거듭 요구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진상조사로 사건을 해결하면 금강산 관광을 재개한다는 우리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대변인은 이날 정부 입장을 발표하며 금강산 피격 사망 사건과 관계없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때의 남북 공동입장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개막식까지 공동입장이 성사되도록 우리 측 대표단을 통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며, 북측도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놓고 베이징 올림픽에 참석하는 이명박 대통령과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접촉 가능성을 염두에 둔 사전 작업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이 대통령과 김 상임위원장의 대화에서 뭔가 의미 있는 내용이 오가려면 먼저 서로 의사부터 타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국 간 공식·비공식 채널이 끊겨 있는 만큼 공동입장을 논의하기 위한 베이징 현지의 실무 접촉이 이 대통령과 김 상임위원장의 접촉 가능성을 알아보는 계기도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글=정강현 기자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