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일대 상인들도 “시위 중단” 서명 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자영업자들이 30일 ‘촛불’을 꺼 달라고 호소했다. 연일 이어지는 시위를 더 이상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한국음식업중앙회·한국세탁업중앙회를 비롯한 14개 소상인단체들은 이날 서울 태평로 뉴국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촛불시위로 인한 사회 혼란으로 서민들이 지갑을 열지 않아 소상공인들이 생업을 크게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매출이 급격히 줄어 대부분 개점휴업 상태라는 것이다.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김경배 회장은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며 “(돈을 못 벌어) 가정이 파탄나고 몰락할 위기”라고 말했다. 시위로 인한 직접적 피해는 없지만 소비심리 위축 여파로 송파구까지 큰 영향을 받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송파구 소상공인위원회 이종덕 부위원장은 “송파 로데오 거리에 있는 의류 점포 매출이 촛불시위 이후 많게는 80%까지 떨어졌다”며 “의류는 통상 5~6월이 성수기인데 6월 매출이 지난해 대비 70%까지 떨어져 폐업 직전”이라고 말했다. 이곳의 250개 상점이 공동 관리하는 공영주차장 역시 최근 빈자리가 크게 늘었다고 그는 전했다.

정부의 땜질식 광우병 대책이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는 비판도 쏟아졌다. 조용덕 한국음식업중앙회 총무국장은 “이미 식품위생법상 100㎡ 이상 업소는 육류 원산지 표기를 하고 있는데 정부가 계도 기간도 없이 무분별하게 이를 전 업소로 확대하겠다고 나섰다”며 “이를 강행할 경우 7일 전국 이사회에서 전국 음식점이 동시 휴업하거나 2004년 솥단지 시위처럼 전국 시위를 할 수도 있다”고 반발했다.

한편 서울 광화문 일대 상인들은 시위 중단을 요청하는 서명운동에 나섰다. 20일 시작한 서명운동에 현재까지 160여 명이 참여했다. 서명을 주도하는 홍모(52·횟집 운영)씨는 “광화문 일대에서 영업하는 사람들의 수입이 절반 이상 줄고, 시위로 가게가 부서지는 등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닌 상태”라고 말했다.

안혜리·한은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