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원 10명 사정설에 술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다음은 정치권 차례다」.
5일 검찰이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 구속기소를 발표한 뒤 정가의 첫 반응은 이렇게 나왔다.더군다나 이날 안강민(安剛民)대검중수부장은 盧씨 돈의 정치권 유입에 대해『집중적이고 심층적인조사를 하겠다』고 다짐했다.이제 5.18특별법 제정에 뒤이어 불어닥친 사정태풍으로 정치권은 온통 술렁거리고 있다.
이날 민자당 여의도 당사에는 3-4-3설이 나돌았다.민자 3명,국민회의 4명,자민련 3명등 현역의원 10명이 사정대상에 포함됐다는 소문이다.검찰정보에 정통한 소식통에서 나왔다는 이 살명설(殺命說)은 삽시간에 확산됐다.
이처럼 정가의 최대 관심은 물론 사정대상이다.누가 포함되느냐다. 사정대상과 폭에 따라 정치권에 미칠 파장은 태풍이 될 수도,미풍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정치권 사정에 대해 지금까지알려진 바에 따르면 메가톤급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나름대로 근거도 있다.
우선 여권핵심부의 의중이 단호하다.이번 기회에 정치자금과 관련된 각종 비리를 뿌리뽑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는게주변의 전언이다.
최근 여권의 한 고위인사는 사석에서『상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고도 말했다.때문에 정치권 사정을 앞두고 긴장하는데 있어서는여야가 없다.
민자당 내에는 오래전부터 야당의 표적사정 시비를 차단하기 위해 여권의 중진인사를 포함시킬 것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이날 나온 10여명 살명설에 포함된 당내인사도 중진급이다.
민자당이 당내 희생자가 누구인가를 놓고 긴장하고 있다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화살이 DJ(김대중총재)나 JP(김종필총재)에게까지 미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동안 진행돼온 일련의 정국 흐름이 두 사람을 표적으로 하고있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구체적인 사정대상과 관련해 우선 거론되는 인사는 盧씨 비자금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 정치인들이다.
盧씨로부터 돈을 받았거나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인사들로 민자당 금진호(琴震鎬)의원과 K의원등이 이에 해당된다.
6공 당시 국회 재무위.상공자원위.국방위등에 소속됐던 전.현직의원들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이들은 율곡비리.수서비리등 각종 이권과 관련된 로비자금 수수의혹을 받고 있다.
이밖에 불법 정치비자금 계좌를 소지한 여야 거물급 정치인들도사정을 앞두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盧씨 비자금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현 정부 출범후『일절 정치자금을 받지 않겠다』고 한 대통령의 가이드라인을 어겼기 때문이다. 벌써 비실명계좌로 거액의 정치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중량급정치인들이 검찰조사에서 포착됐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정치권 사정이 지금 여권의 분위기대로 간다면 정계개편등의 대지진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정치권은 초긴장상태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