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오르는 강북, 지금 사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한때 강남권 집값이 오르면서 서울은 물론이고 지방 주민들도 ‘강남 입성’을 일종의 꿈처럼 여겼다. 다주택 보유자 역시 강남 집은 끝까지 팔지 않고 강북 등지의 저렴한 주택을 파는 경우가 흔했다. 하지만 요즘은 분위기가 바꿨다. 한동안 들썩였던 강남 아파트값은 안정세인 반면 강북은 가격 오름세가 뚜렷하다. 노원·도봉구 등에서 시작된 집값 급등세는 인근 수도권으로 번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버블세븐’이라 칭하며 “가격에 거품이 많이 끼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강북 및 수도권 집값 오름세는 좀 더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주택산업연구원 장성수 박사는 “뉴타운 및 역세권 개발 등 집값을 끌어올릴 만한 재료가 넘쳐 상당 기간 집값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수요자라면 지금이라도 내집 마련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내집 마련 유망 지역으로 역세권의 도심 재개발 지역이 손꼽힌다. 이명박 정부가 도심 재개발을 강하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 한광호 대표는 “적정가로 나온 재개발 지분이나 역세권 단지 중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주택 규모로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이 큰 중대형보다 중소형 아파트가 제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하나은행 김창수 재테크팀장은 “올해 강북 재개발 지역 이주 수요가 많아 중소형 아파트 강세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며 “경전철 개통 등 교통 여건 개선이 예상되는 지역을 눈여겨 볼 만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론도 많다. 강북은 단기간 집값이 급등한 만큼 상대적으로 덜 오른 곳을 중심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 정부의 규제 완화 시기와 폭도 변수다. 재건축이나 세금 규제 완화가 가시화될 경우 다시 시장의 흐름이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고가 중대형 시장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무리해서 기존 주택 매입에 나서기보다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아 시세보다 싼 신규 분양 물량을 노리는 게 좋다”고 말했다.

조철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