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교체 5.18 政防치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국회의 19일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여야는 각당의 중진들을질문자로 내세워 공방전을 펼쳤다.이들은 세대교체,지역할거,5.
18처리문제와 여야영수회담등 주요쟁점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세대교체.지역할거 문제에는 여야 실력자들이 나섰다.첫 질문자로 나선 최형우(崔炯佑.민자)의원은 『지역등권이다,핫바지다 하는 식으로 화합의 정치를 거역한 분들이 이끌어온 1인정당정치에서 정치인의 창의성을 기대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
그는『이러한 정치풍토의 청산이야말로 세대교체 차원을 넘어 국민이 요구하는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상현(金相賢.국민회의)의원은 『세대교체는 과거 쿠데타정권이 기존 정치인들을 탄압할 때 악용해온 명분』이라고 주장했다.양순직(楊淳稙.자민련)의원은 『경남고 출신들이 정부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며 『지역할거주의를 타파하려면 인사 청문회 제도를 도입하라』고 요구했다.
답변에 나선 이홍구(李洪九)총리는 『세대교체에 대한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언급은 원론적인 얘기며 특정인사를 배제하는 인위적 세대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피력했다.
또 『인사가 지역적으로 편중됐다는 지적이 일지 않도록 유의하겠다』고 다짐했다.
5.18처리문제에는 광주항쟁 당시 시민군 항쟁위원회 외무위원장이었던 정상용(鄭祥容.국민회의)의원이 5.18특별법 제정및 특별검사제 도입과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의 재판회부를 요구했다.
반면 박희부(朴熙富.민자)의원은 『특별법제정 이전에 89년 당시 5.18을 광주민주화항쟁으로 규정했던 4당영수들의 입장표명부터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총리는 『5.18은 13대 국회 청문회와 검찰수사등을 통해진상이 대부분 밝혀졌다고 본다』면서 『모든 입법은 헌법취지와 합치돼야 한다』고 말해 특별법 제정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김대통령이 야당대표와 만나야 경색정국이 풀린다는 주장에 대해이총리는 『여야 지도자들이 대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그러나 이 문제는 국회내에서 협의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부영(李富榮.민주)의원은 무라야마(村山)총리등 일본 지도자의 망언을 규탄했다.이상재(李相宰.민자)의원은 『풍수해및농작물 피해 지원규정을 농민 가슴에 닿을 수 있도록 상향조정,법제화하라』고 요구했다.김길홍(金吉弘.민자)의원 은 『대통령의국정수행을 보다 완벽하게 보좌하기 위해 행정기능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