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생각합니다>세계화 시대라도 국어교육 소홀은 잘못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젠 미국 대입학력고사(SAT)에서도 제2외국어로 한국어 과목이 개설됐다.그리고 내년엔 한국어 학당이 로스앤젤레스에 세워질 것이라 한다.동남아시아의 한국어 열풍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우리 모국어가 세계속에서 점차 그 훌륭함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한글을 사랑하는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자랑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우리 학생들의 국어교육은 어떠한가.
현실은 국어보다도 영어를 잘해야 하는 시대다.하기야 우리 글 읽고 쓰지 못할 학생들이 어디 있겠는가 마는 지하철에서 문학소설 한권을 읽는 것보단 영어단어를 외우거나 회화테이프를 듣는 것이 요즘을 살아가는 지혜로운(?)방법이 돼 버렸다.국어는 그나라의 문학이요 그나라의 문화다.언젠가 서울대 단과대학 수석 합격생은 중학교 2학년때 읽은 소설 한 권이 자기 독서의 전부라고 말한 적이 있다.이를 들은 대학교수는 이렇게 말했다.『그렇게 해서 대학 들어오면 뭣하나.』그러나 이는 단지 그 학생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 것이다.우리말과 글의 국제화에 열광할일만은 아니다.이젠 우리 아이들의 국어교육에 새로운 관심과 노력을 쏟아야 한다.
김상현〈하이텔 phdyna〉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