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준화 교육, 되레 불평등 초래 소품종 다량생산 방식 고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권대봉(사진) 고려대 교육학부 교수는 29일 “정치적 포퓰리즘(인기 영합주의)에 의한 교육 평준화 정책은 오히려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했다. 이런 반성 위에서 교육의 포퓰리즘을 걷어 내고, 관치 통제의 틀을 자율 패러다임으로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게 교육 선진화의 출발점이라는 것이다.

권 교수는 이날 서울 옥인동 남촌리더십센터에서 ‘포럼 굿 소사이어티’(공동대표 김인섭 변호사, 정진홍 서울대 명예교수) 주최로 열린 ‘건국 60주년 연속 기획 대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 교육 60년의 반성과 선진화 기본 과제’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권 교수는 “정부나 사회가 추구해야 할 것은 기회의 평등임에도 그간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전제했다. 그런 문제의식 아래 평준화 교육이 낳은 문제점을 몇 가지로 정리했다.

그는 중간을 지향하는 평준화가 상·하위권 학생을 수업에서 소외시켰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교육 시장을 키워 교육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해지는 결과를 낳았다고 했다. 평등주의 교육 정책이 되레 불평등을 심화시킨 실패한 정책이라는 것이다.

권 교수는 또 경쟁을 죄악시하는 교육 평등 정책이 학업 의욕을 제한해 ‘평준화=평둔화(平鈍化)’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한 줄 세우기’ 문화를 ‘여러 줄 밟기’ 문화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점도 여러 차례 강조했다. 핀란드·네덜란드·스웨덴 등의 선진국처럼 한국도 특색을 갖춘 다양한 학교, 다채로운 교과 과정을 갖춰야 한다는 뜻이다. 권 교수는 “교육 선진화를 위해선 ‘소품종 다량생산’ 방식부터 바꿔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토론자로 나온 이성호 중앙대 교수는 “교육에 관한 모든 사안을 정부가 주도하겠다는 오만과 독선이 학교 자율성을 저해하는 주범이었다”며 “자율성 확대는 결국 관료들의 기득권 포기와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또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교육 지방자치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김영임 한국방송대 교수는 “디지털화로 전개되는 멀티미디어 시대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해) 일방향 방송의 시대를 바꾸고 있으며,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도 펼쳐 보이고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