뻘흙 청소늑장 한강공원 실종-區廳선"오물만 책임" 발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지난달 쏟아진 집중호우에 뻘흙으로 뒤덮인 한강시민공원의 복구가 늦어지고 있다.
구청장들이 뻘흙제거작업을 구청이 해야 하는 오물수거등 청소작업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며 서울시에 미뤄 본청만으로는 힘이 부치기 때문이다.관선단체장 시절에는 생각할 수도 없는 일로 공원이용 시민들만 골탕을 먹게 됐다.
하천법과 행정권한에 관한 위임조례에 따라 한강의 관리는 건설교통부가,한강시민공원의 관리.운영은 서울시가,시민공원 청소업무는 관할 구청이 맡도록 돼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2~26일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반포.뚝섬지구등 9개지구 한강시민공원 5평방㎞ 전역에10㎝~1정도 두께로 뻘흙및 쓰레기가 쌓였다.
서울시 추산에 따르면 뻘흙은 41만1천으로 8트럭 5만1천4백대분량이나 된다.쓰레기는 3백40으로 8트럭 43대분량에 이른다. 시는 자체인력과 장비로 제거작업을 하는 한편 지난달 28일부터 군부대에 지원을 요청,지원을 받았다.5일 현재 뻘흙의경우 69%,쓰레기는 90%정도 제거작업을 끝냈다.
시에 따르면 5일까지 복구작업에 투입된 연인원 2만8천여명 가운데 군부대 장병및 예비군이 2만1천여명으로 77%를 차지하고 있다.페이로더.덤프트럭등 복구장비의 70%도 군부대에서 지원했다. 서울시는 최근 한강청소를 맡고 있는 11개 구청에『한강시민공원의 복구작업에 참여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으나 반응이 없다.
단지 지난 4일 S구청등 4개구청이 30~4백여명의 인력을 동원,뻘흙제거작업을 벌였으며 그나마 5일에는 단 한곳도 복구작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뻘흙이 청소작업 대상으로 조례에 명확히 규정돼 있지 않으나 과거 임명직 구청장 시절에는 시의 지시가 없어도 자발적으로 각 구청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시는 구청의 협조가 없을 경우 연말께 완전복구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봐 시민들의 휴식공간만 실종된 셈이다.
〈李哲熙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