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심한 야당의 地自制관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심대평(沈大平)충남지사가 4일 서울에서 도정(道政)보고회를 가졌다. 각당의 충남출신 지역구및 전국구의원이 대부분 참석했다.김종필(金鍾泌.JP)자민련총재는 민자당의원들이 오해를 받을까봐 불참했다.
도지사가 내무부를 통하지 않고 직접 중앙정치권의 협조를 요청하는 자리다.자치제는 도지사가 세일즈맨이자 로비스트가 되기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날 모임은 JP의 자치단체 관리법을시사해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특히 김대중(金大中.DJ)새정치국민회의 고문과는 상당히 다른방법이다.
DJ는 중앙당이 자치단체를 관리.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데 반해 JP는 자율성을 강조해왔다.
DJ는 지방의원과 단체장들을 불러 자치단체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중앙당에 黨4役 범위에 지방자치위원장을 두어 수시로 당정(黨政)협의를 하도록 했다.중앙당을 보고 표를 찍은 유권자들에게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애프터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JP는『당은 옆에서 혹은 뒤에서 참된 자치적 관계정립에 힘을 보탤 따름』이라면서 『당정협의도 자주 갖지 않겠다』고 말했다.지역에서는 여당이나 야당인 민자당이나 중앙정부와의관계도 건설적으로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자민련은 여당으로서의 역할 이상으로 간섭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다.그 때문인지 이날 모임도 충남도가 주최했다.
두 사람이 각기 다른 관리 방식을 택한 것은 뿌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JP는 국무총리를 비롯해 거의 대부분을 집권 여당에서 보냈다.힘주어 쥐지 않더라도 자치단체 정도는 손바닥에 놓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
더군다나 대전.충남.강원지사가 모두 과거 행정경험이 많은 사람들이다.
이에 반해 DJ는 일부 지방에서라도 집권하는 것이 처음이다.
자치행정을 어떻게 잘하느냐가 DJ의 행정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돼버릴 수 있다.
더구나 전.남북지사는 행정경험이 없다.기초자치단체도 대부분 마찬가지다.
조순(趙淳)서울시장도 내무행정 경험은 처음인데다 신당행 여부조차 불투명하다.
때문에 여러가지 부담을 안으면서도 직접관리에 나선 것이다.
서로 다른 두 사람의 관리법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관심거리다. 〈金鎭國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