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천억 비자금說 남은 의문점 많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석재(徐錫宰)前총무처장관이 점화시킨「전직대통령 4천억원 가.차명예금설」파문은 여러가지 의문점을 낳고 있다.이런 의문들은진실규명의 관건이 되고 있다.
첫째는 소유자측에서 시도했다는 해결방안이다.徐씨는『소유자측 대리인이 2천억원을 국가에 헌납할테니 나머지 2천억원에 대해 자금출처 조사를 면해줄 수 있느냐는 점을 여권에 타진했다』고 말한 것으로 되어있다.
개혁을 중시하는 김영삼(金泳三)대통령정부가 이런 편법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소유자측이 이를 점검했을 터인데 과연그런 제안을 했겠느냐는 점이 이상하다.
처음에 徐씨는 이를 여권 고위관계자들에게 전했다고 알려졌다.
대답은『불가』로 나왔다는 것이다.徐씨의 주장대로 단순히 증시 루머를 얘기한 것이라면 徐씨는 왜 그것을 타진하려 했을까.
소유자측의 이런 제안이 있었다면 여권내에서 徐씨말고 누가 알고 있는지도 밝혀져야 할 것이다.徐씨가 이를 언급할 정도라면 이는 벌써 여권 핵심부의 현안으로 되어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徐씨는 지금『제안을 받은 적도,타진한 적도 없다』고 부인하고있다.그와 가까운 민주계 핵심인사는『설사 그런 제안을 받았다고해도 徐씨가 그렇게「소문나게」일을 처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분석한다.
「4천억원이나 되는 가명자금」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김윤환(金潤煥)민자당사무총장은『그런 액수를 조성하는 것 자체가 어려웠을 것이다.아무리 가.차명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그런규모는 관리가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정치자금 사정을 잘 아는 여권의 고위소식통들은 소유자가 실명제 전에 이를 제대로 숨기지 못한 점도 이상하다는 견해를 제시한다.소유자는 정권이 바뀌면 당연히 자금의 안전을 도모했으리라는 것이다.그는『방법은 많다』고도 했다.
실명제가 단행됐을때 연희동 주변에서는『실명제의 덫에 걸린 자금이 있다』는 소문이 돈 적이 있다고 한다.그때는「2천억원설」이었다.자금 규모도 이렇듯 들쭉날쭉한다.그러나 이런 액수의 불확실성이 도덕성 문제를 덮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다 .
사건의 또하나 중요한 과제는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두 전직대통령에게 안겨져 있다.說의 진위를 가리는 가장 빠르고확실한 방법은 두사람이 재산을 공개하는 것이라는 여론이 강하다. 연희동측은『문제를 제기한 측에 입증 책임이 있다』고 주장할는지 모른다.그러나 두 사람이 전직 국가원수이자 국가원로이므로국민의 의구심을 풀어주기 위해「재산공개.해명」이라는 차원높은 선택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연희동이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은 의문이다.
마지막으로 徐씨가 적극적으로 발언을 부인하는 것도 석연치 않다.1일 있었던 발언(참석자들의 증언)과 그의 부인은 너무나 거리가 있다.그는 자신의 발언 또는 실수를 시인하든지 진실을 입증하는 길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민자당은 『徐씨가 이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金 璡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