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들 절반 학력.경력 과대포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지방선거 출마자중 상당수가 경력이나 학력을 과대포장하고 시민단체 참여경력이나 향우회.동창회등 연고조직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가 13일 전국 30개 지역4백여명의 기초.광역선거 후보들이 선관위에 제출한 자료와 홍보물 등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상자중 50~60% 가량이 학력이나 경력을 과대포장하고 있다.
후보들은 某대학 최고지도자과정 수료 등 국내외 대학의 단기연수과정 이수를 1~3개씩 표시해 지나치게 학력을 강조하거나 과정명을 빼고 마치 정규과정을 이수한 것처럼 기재한 경우가 많았다. 경기도안산시의 경우 시의원출마자 21명중 11명이 외국대학의 대학원이나 某대학 사회개발대학원.지방의회 최고지도자과정 수료 등의 경력을 1~2개 이상씩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A구청장 후보 K씨의 경우 학부경력 없이 某대학 경영대 최고경영자과정 수료,某대학 경영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 수료등 3~4개 이상을 기재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광역.기초의회 후보들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또 후보들은 YMCA.경실련 등 시민단체 참여경력이나 향우회.동창회 등을 내세워 유권자들의 연고심리를 부추기고 있다.
서울시의회후보 L씨의 경우 국교동창회장.고교총동창회 부회장 등을 주요경력으로 내세우고 S씨는 某향우회 지역연합회 회장 등의 경력을 제시하고 있다.
공선협 김성수(金聖壽)사무처장은『학력.경력의 과대포장이나 연고조직을 내세우는 것 등은 유권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거나 연고심리를 부추기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姜甲生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