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문사태6주년그이후>下.민주화운동은 어디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6.4천안문(天安門)사태를 어떻게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는 앞으로 중국의 정치미래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중국정부는 사망자 숫자를 2백명선으로 밝히면서 이는『체제전복을 노린 군중폭동』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실제 사망자 숫자는 1천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反체제 인사들은 『천안문 의거는 잘못된 정부시책의 수정을 요구하는 인민들의 정당한 의사표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천안문사태에 대한 상반된 성격규정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이를 재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최근 중국 권력 핵심부에서 조심스럽게 일고 있다.
반체제 인사들은 6.4사태의 재평가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줄기차게 제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당국은 대꾸조차 않고 있다.장쩌민(江澤民)국가주석은 지난달 『89년 정치풍파에 단호한 대처를 하지 않았다면오늘과 같은 안정은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무력진압의정당성을 옹호했을 뿐이다.
그러나 권부(權府)일각에선 6.4의 재평가 필요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黨중앙의 한 고위소식통은『덩샤오핑(鄧小平)사후 現지도부,특히江주석의 통치기반 강화와 권력의 정통성 확보 차원에서 재평가 필요성이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제기하는 측은 천안문사태가 現체제를 옥죄는「정치적 족쇄」기 때문에 6.4와 직접 관련이 없는 江주석입장에서는 언젠가이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제한적 범위내에서 천안문사태를 재평가함으로써 鄧시대와 차별화하고,이로써 민심을 획득하려는 정치적 계산이다.
현재 중국사회에 내재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을 경우 공산당지배 자체가 위협 받을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반체제 인사들의 공세가 아니더라도 새로운 집권세력의 필요성에 의해 제한적이고 점진적인 민주개혁이 서서히 시도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편 중국내 노동자.학생.지식인들에 의한 反정부.反체제운동은 뚜렷한 이념이나 중심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어 이들에 의한 민주화운동은 당장은 눈에 띌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北京=文日鉉특 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