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환전요령-분실위험등 없는 카드결제가 간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해외에서 현금을 많이 소지한 것으로 알려져날치기와 사기의 표적이 되는 일이 종종 있다.
해외여행시 발생하는 비용은 본국에 돌아와 크레디트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물론 푼돈으로 쓸 수 있는 약간의 현금소지는 필수.
굳이 카드보다 현금을 선호한다면 현금처럼 쓸 수 있으면서 분실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여행자수표(TC)를 갖고 가면 더욱 좋다.25일 현재 1천달러를 현금으로 살 경우 1.5%의수수료를 포함해 77만1천7백원을,여행자수표로 바꿀 경우는 0.7%의 수수료를 포함 76만5천6백20원을 내면 된다.달러를소지했다가 남 은 돈을 다시 한화로 바꿀 때도 현금은 1천달러당 74만8천9백원을,여행자수표는 이보다 많은 75만5천7백90원을 받을 수 있다.결국 현금을 소지할 경우 분실위험이 큰데다 사거나 되팔 때도 손해가 더 많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여행자수표는 20달러짜리부터 50,1백,5백,1천달러짜리까지 5종류가 있으므로 많지 않은 비용을 지불할 때도 현금처럼 쓸 수 있다.여행자수표는 구입하자마자 수표 앞면에 사인을 해야 분실시 배상받을 수 있는데 분실 즉시 발급은행에 신고한 후 환불은 한국에 돌아와서 받게 돼 있다.
선진국에서는 웬만한 곳은 다 비자나 마스터카드등 신용카드를 받고 있으므로 가능하면 발생비용을 카드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또 달러 대신 다른 화폐를 사용하는 나라로 갈 경우 다시 수수료를 지불하고 그 쪽의 돈으로 바꿀 필요 도 없다.
카드는 일단 현금을 갖고 다닐 때의 위험이 따르지 않고 물건구입시 최고 50여일후 해당 금액을 지불하면 되므로 유리하다.
또 달러를 비싸게 샀다가 보다 싸게 되팔 때의 손해와 번거로움,수수료 지불 등의 불편함을 덜 수 있는 방법이다.
지난 2월말부터는 여행 도중 남은 달러를 은행통장에 외화상태로 저축해 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려 여행이 잦은 사람이라면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蓮〉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