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부족식량 全梁지원 용의-北입장 고려 제3국서 구입수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한 쌀지원 문제와 관련,북한이 응해올 경우 북한의 식량부족분 전량을 지원해줄 용의가 있음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현재 국내 비축분으로는 지원이 어렵고 북한 입장을 고려해 제3국에서 구입해 직접 수송하는 방안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29일 『북한이 연간 필요한 쌀.옥수수.고구마등 식량의 총량 6백70만t중 2백59만t이 부족한 것으로집계되고 있다』고 말하고 『북한이 한국으로부터 직접 받기 곤란하다면 제3국의 식량을 구입,현지에서 직송하는 방안 까지 제시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관계기사 2面〉 이 당국자는 또 『현재 평양시내에서조차 식량배급에 있어 쌀.잡곡의 비율이 3대7』이라고 전하고 『이런 비율을 적용할 경우 쌀은 78만t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식량을 전량 제공할 경우 비용은 3억5천만달러(2천7백억원 상당)안팎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제3국에서 구입할 경우 쌀은 태국산,옥수수는 중국산이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쌀의 국제시장 가격은 캘리포니아산은 t당 3백40달러에서 3백80달러 수준이며 태국산은 2백40달러 수준이다.
〈金基奉기자〉 다른 당국자는 『문제는 북한의 비뚤어진 자존심』이라며 『심각한 식량난 때문에 중국.태국.파키스탄.일본,심지어 유네스코등에 식량지원을 구걸하러 다니는 것보다 남한으로부터받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북한 지도부에서 할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당국자는 또 『이런 제의는 남북간 쌀제공 문제를 둘러싸고 대화가 진전돼야 가능하다』고 말하고 『무상지원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등 국제곡물상들이 반대하고 세계무역기구(WTO)등에서 민족 내부거래로 인정하는 것을 둘러싼 논쟁소 지가 있기 때문에 장기대여 형식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일본에 대해 식량지원 문제에 있어 신중을 기해줄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는데 이는 일본이 지원할 경우 경수로문제등에 있어 주도권을 상실할 우려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