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예총 신임 이사장 된 황석영씨 "신명나는 문화마당 펼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소설가 황석영(61)씨가 지난달 27일 열린 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의 정기 대의원 총회에서 임기 2년의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황씨가 문화단체의 장을 맡은 것은 1988년 민예총의 전신인 민족문화운동협의회(민문협) 대표를 지낸 뒤 처음이다.

황이사장은 3일 자신의 임기 중 민예총이 중점을 두고 추진할 사업 방향 세가지를 밝혔다. "문학.미술.공연 등 기초예술이 너무 침체돼 있다. 젊은 작가들에게 먹고 살 길을 마련해 주는 게 급선무다. 또 경제가 좋지 않다보니 국민 전체가 뭔가 저조한 상태인 것 같다. 신명 한마당을 불러일으킬 문화운동을 펼칠 생각이다."

그는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의욕을 보였다. "올해는 북핵 관련 6자회담이 열리고 미국 대선도 있다. 남북관계가 어느 때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 간 문화교류를 적극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11일로 예정된 기자회견에서 밝힐 예정이라고 했다.

황이사장은 "다음달 영국으로 가 2년간 머물 계획인 데다 방북사건으로 투옥됐다가 98년 출감한 후 잠시 부이사장을 지낸 적도 있어 처음에는 이사장직을 고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사장을) 한번은 거쳐주어야 후배들이 맡을 수 있다"는 주변의 설득을 뿌리치기 힘들었다. 결국 황이사장은 e-메일로 연락사항을 주고받고 귀국할 때마다 업무를 처리하는 식으로 민예총을 이끌기로 했다.

황이사장과 민예총의 인연은 각별하다. 민족문학작가회의.민문협 등이 뭉쳐 민예총을 결성할 때 민문협 대표를 맡았었다. 황이사장은 "87년 대선을 겪으며 분열됐던 진보세력이 88년 전국적인 조직으로 통합되는 상황에서 민예총도 출범했다"고 회고했다.

?민예총=1970~80년대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했던 문화예술인들의 모임. 민주화와 민족통일을 목표로 내걸고 88년 12월 23일 창립한 '민족예술인총연합'의 약칭이다. 최근엔 민족문화의 전통을 계승.전파하면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문화운동을 펴고 있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