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상의 협의회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부산·울산·경남 3개 지역 상공회의소가 가칭 ‘동남권 상공회의소 협의회’를 구성해 광역경제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전국 ‘5+2 광역경제권’ 재편 방침에 발맞춰 인근 3개지역 경제권을 하나로 묶으려는 시도다.

 3개 지역 상공회의소는 27일 “동남경제권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조만간 부·울·경 상공회의소가 주축이 된 ‘동남권 상공회의소 협의회’구성 작업에 나서겠다”고 입을 모았다.

 협의회는 ▶산업입지 등 토지이용정책 공동수립 ▶산업인력 공동 양성 ▶기업활동 애로사항 발굴 및 대정부 건의 등이 담긴 ‘동남광역경제권 산업발전계획’ 수립의 기초작업을 수행하는 기구가 된다.

 협의회는 또 미국의 남캘리포니아정부협의회, 샌디에고 정부협의회, 일본의 간사이 광역경제권 등을 모델로 부산·울산·경남을 아우르는 광역권개발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촉구하기로 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3개지역을 아울렀을 때의 비중이 수도권 못지 않은 규모로 발전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울산상의에 따르면 3개 지역을 합친 광공업의 전국 비중이 기타운송제조업 91.5%,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 연료 68.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6.6%, 기계장비 제조업 33.8%를 차지했다.기업간 구매거래의 83%, 판매거래의 68%가 동남권 안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두철 울산상의 회장은 “동남권 순환고속도로 및 철도망 구축, 신공항 건설 등 서로간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분야부터 발걸음을 맞춰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