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징집·위안소 개설, 일본군이 직접 관리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일제치하 시절 일본군의 위안소가 군의 직접적인 통제와 관리하에서 운영됐음을 입증하는 자료가 발굴됐다.

일제가 민간인과 군 모두를 동원해 사기.폭력 등을 사용해 무차별적으로 여성들을 강제 연행했음을 보여주는 위안부 신상카드도 발견됐다.

이는 일본군이 성노예의 징집과 위안소의 개설.경영.관리에 직접 간여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민간업자들이 위안소를 운영했으므로 일본 정부와 군대는 책임이 없으며 군 위안부들이 돈을 벌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원했다고 주장해 왔다.

서울대 정진성 교수와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장태한 교수팀은 여성부의 용역을 받아 미 연방정부기록보존소(NARA)의 포로심문 자료와 일 방위청 방위연구소 도서관 자료 등에서 이 같은 자료를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발굴된 일본군 부대시설(Amenities in the Japanese Armed Forces) 보고서에 따르면 군 위안소는 반드시 그 지역의 일본군 사령관의 인가를 받아야 설치가 가능했으며 폐쇄.임시 영업중단 등을 할 때도 일본군의 허가를 받아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안소에서 근무하는 위안부의 숫자와 개인 신상기록.신체검사.위안소 위치 등 위안소 경영에 관한 사항도 인가를 받아야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위안소 경영주는 일일보고서와 월말보고서를 군에 제출했으며 위안소의 사용료(1~4엔)도 일본군 사령관의 재량에 따라 일별 또는 시간대별로 정해졌다. 이와 함께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4년 미군이 작성한 일본군 포로심문 보고서에는 36명의 한국인 위안부 명단이 새로이 발견됐다.

이 보고서는 개인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에서부터 키.몸무게.피부.머리색깔 등을 비롯해 혼인 여부와 교육 정도, 직업 등의 사항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문경란 여성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