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장관 ‘핫라인’ 만든다 … 윤곽 드러난 이명박 정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작고 강한 청와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추구하는 새 청와대의 모습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의 한 핵심 관계자는 6일 “이 당선인은 최고경영자(CEO) 출신답게 조직의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크다”며 “청와대부터 작고 효율적인 조직을 만들어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게 이 당선인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조만간 발표될 청와대 개편안의 핵심은 ‘비서실장 중심 체제로의 전환’이 될 가능성이 크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투톱’이었던 비서실과 정책실 중 정책실을 폐지하고 비서실에 역량을 집중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당선인의 한 측근은 “정책실은 그간 장관들과 대통령의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옥상옥(屋上屋)’이란 비판을 받아온 만큼 새 정부에서는 폐지될 것”이라며 “정책실 폐지는 장관급(정책실장) ‘감투’를 하나 줄이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또 다른 장관급 실장인 안보실장을 현행대로 유지할지에 대해서는 인수위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장 직제를 폐지할 경우 청와대 전체를 총괄할 유일한 장관급인 비서실장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명칭을 바꾸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비서실장 아래의 기능이 중복되는 수석 자리들도 청와대에서 대거 사라질 전망이다. 우선 정책실 산하 사회정책수석과 비서실장 산하인 시민사회수석이 하나로 합쳐질 가능성이 크다. 또 비서실의 홍보수석도 청와대 대변인이 겸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조직 변화에 대해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이 당선인이 청와대 참모진을 줄이려는 건 자신이 야전사령관이 돼 정부 부처들을 직접 챙기겠다는 뜻”이라며 “대통령과 장관들 사이에 단계를 줄이거나 아예 없애 직보도 가능한 ‘핫 라인’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개편안 중에는 이 당선인으로부터 직접 지시를 받아 경제정책 등을 조율할 ‘대통령 프로젝트위원회’(가칭)라는 별동대를 청와대에 신설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정무수석의 부활도 관심사다. 이 당선인의 측근인 박희태 의원이 최근 “현 정부는 당정 관계가 느슨해지면서 위기에 빠졌다”며 “정무수석을 만드는 걸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에 정무수석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청와대 개편 방안이 확정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동관 대통령직 인수위 대변인은 6일 “청와대 개편은 아직 시간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한 인수위원도 “총리실 등과 겹치는 업무를 조정하는 게 핵심이라 정부조직 개편안이 확정된 뒤에야 손을 댈 수 있다”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